[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김경수 노무현재단 봉하사업본부 본부장은 검찰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대화록' 실종 중간수사 결과발표와 관련해 4일 해명에 나섰다. 김 본부장은 이지원에서 문서 삭제가 이뤄질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며, 초안의 경우 기록물로서 가치가 없기 때문에 문서 이관 대상에서 빠졌는데 이를 검찰이 삭제라고 봤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최종본이 이관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서는 뚜렷한 설명을 하지 못한 채 검찰과 함께 퍼즐 맞추기를 해야 할 사안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2일 대화록 실종과 관련된 중간수사 발표를 통해 대화록이 국가기록원에 이관되지 않았으며, 노무현 전 대통령이 봉하마을로 가져갔던 청와대 문서관리시스템 이지원 사본에서 대화록 초안의 삭제 흔적과 최종본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김 본부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참여정부 당시의 문서이관 시스템을 설명하면서, 대화록 초안의 경우에는 이관되지 않는 문서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록물 가치가 없는 자료는 기록관리시스템 이관하는 대상에서 제외한다"며 기록물로서 가치가 있는 문서들만 청와대기록관리시스템(RMS)를 통해 대통령기록관에 이관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검찰이 밝힌 "초안이 삭제된 흔적이라고 하는 것은, RMS에 목록에 빠진 것을 지칭하는 것 같다"고 추정했다. 그는 이지원 시스템의 경우 보고된 문서가 삭제될 수는 없지만, 작성중인 보고서나 기록물로서 가치가 없는 문서의 경우에는 RMS로 옮겨지지 않고 빠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화록과 같은 경우 처음에 작성하면 완전한 녹취록이 안 나오게 되고 여러 차례의 수정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조명균 안보비서관이 정상회담 당시 메모 등을 참고로 해서 최종본을 완성했다고 설명했다. 기록물로서 최종본이 있었기 때문에, 초안을 별도로 기록물로 남길 필요가 없다는 설명이다.
김 본부장은 현재의 검찰 수사와 관련해서도 "사실 규명이 목적이라고 하는데 처벌이 목적처럼 바뀌었다"며 사실 규명이 먼저라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검찰 수사를 통해 경위를 파악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는 “검찰조사 과정에서 검찰 조사 내용을 보고 저희도 퍼즐 맞추기를 같이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노 전 대통령이 대화록을 파기했을 것이라는 주장과 관련해 노 전 대통령이 기록물을 남기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언급했다. 또한 김 본부장은 "검찰과 언론과의 관계라는 것은 알지만, 검찰의 발표를 일방적으로 따라가고 노 대통령을 모욕하는 식의 발표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살펴줄 것"을 호소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