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옛 시골장터·전통시장의 추석 풍경은 어땠을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국가기록원, 1950~80년대 추석 무렵 장터·시장 사진·동영상 공개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추석하면 떠오르는 곳은 예나 지금이나 시장이다. 특히 옛날 동네 어귀마다 며칠에 한번씩 들어서던 시골 장터는 물건과 소식을 주고받는 교류의 장이자 서민들의 애환이 살아 있는 추억의 장소다.


이와 관련해 안전행정부 산하 국가기록원이 1950~80년대 추석 무렵의 옛 시장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사진ㆍ동영상을 공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가기록원(원장 박경국)은 9월 '이달의 기록' 주제를 '기록으로 만나는 전통시장'으로 정하고 관련 기록물을 17일부터 나라기록포털(http://contents.archives.go.kr)에서 서비스 중이다. 이번에 소개되는 기록물은 동영상 12건, 사진 12건 등 총 24건으로, 추석을 맞은 시장을 비롯해서 5일장 등 1950~80년대의 다양한 시장 모습을 담고 있다.


추석 명절을 맞은 1950~70년대 시장 풍경을 사진과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햇과일ㆍ햇곡식 등 각양각색의 물건을 흥정하는 사람들, 명절에나 살 수 있던 새 옷과 새 신발을 고르는 아이들 등 추석을 앞둔 옛 시장은 각종 물건과 인파로 발 디딜 틈이 없었던 그 시절의 시장 풍경을 추억해 볼수 있다.

또 1960년 촬영된 '장날 풍경' 동영상을 통해 5일장에 내다 팔 곡식이나 가축을 소나 지게에 싣고 가는 농부, 흥정을 붙이는 우시장의 거간꾼, 추가 달린 대저울로 무게를 재고 나무주판으로 계산을 하는 상인, 시장 한 켠에 지게를 지고 선 채 허기를 채우는 지게꾼, 멍석 위에 놓인 생선을 고르는 아낙네, 장이 마치면 삼삼오오 모여든 장꾼들로 북적이는 주막 등 지금은 사라진 옛 장터의 풍경을 볼 수 있다.


교통과 경제가 발전하면서 큰 도시에서 문을 열기 시작한 다양한 현대식 시설의 시장의 모습들도 볼 수 있다.


서울에서는 1959년 오장동에 2,300여개 현대식 점포를 갖춘 중부시장, 1968년 용산의 양곡도매시장, 1970년 당시 국내 최대 규모의 동대문 종합시장, 1985년 6만여평 규모의 가락동 농수산물 도매시장이 개장했다. 대구에서는 광복직후에 맥이 끊어졌던 약령시장이 1978년 전국 규모로 문을 열었다. 이들 시장의 개장 모습과 더불어 서울 서대문구 수산시장의 경매 모습(1957년), 남대문시장의 전경(1972년), 부산 자갈치시장의 새벽 풍경(1987년) 등도 만나볼 수 있다.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은 "시장 풍경에 관한 옛 기록을 통해 어려웠던 살림살이에도 마음만은 풍요로웠던 추석의 모습과 사라져가는 장터의 정취를 되돌아보기 바란다"고 말했다.

옛 시골장터·전통시장의 추석 풍경은 어땠을까? 1975년 추석 전 대구 칠성시장 전경
AD


옛 시골장터·전통시장의 추석 풍경은 어땠을까? 1977년 추석 전날 남대문 시장 모습.


옛 시골장터·전통시장의 추석 풍경은 어땠을까? 1960년 한 농촌 장날의 풍경


옛 시골장터·전통시장의 추석 풍경은 어땠을까? 1968년 서울시 양곡시장 개장식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