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구로·개봉동 노후지, 맞춤형 마을계획 첫 추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구로·개봉동 노후지, 맞춤형 마을계획 첫 추진 구로동 일대 주거환경관리사업 계획안
AD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정비예정구역 해제 후 주민 참여로 맞춤형 마을계획이 시작되는 첫 사업지가 나왔다. 구로동과 개봉동 일대 노후 주거지가 대상으로 전면철거 대신 마을의 역사성·환경성을 보존하면서 공공이 기반시설을 정비하는 리모델링 방식이다.

서울시는 28일 제14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개최해 구로구 구로동과 개봉동 일대 주거환경관리사업안을 심의·가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중 구로동 111 일대는 지난 2011년 9월 재건축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된 지역으로 기반시설과 도로환경이 열악한 상태다. 서울시는 주민협의체를 구성하고 면담과 설문을 실시해 마을계획 수립을 지원했다. 주민들의 참여를 토대로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된 셈이다.

개봉동 270 일대 이심전심마을은 개웅산 아래에 위치한 단독·다세대주택 밀집지역이다. 이 마을은 성균관대학교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이 8개월간 주거환경관리사업을 준비, 서울시가 지난해 공모한 '살기좋은 마을 만들기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구로·개봉동 노후지, 맞춤형 마을계획 첫 추진 주민참여로 지구단위계획이 첫 수립된 구로동 일대



구로동 지구단위계획의 골자는 ▲가로환경개선 ▲방범을 위한 CCTV 설치 ▲마을환경개선을 위한 지침 제시 등이다. 개봉동 이심전심마을은 ▲주민공동이용시설 조성 ▲가로공원 등 기반시설 설치 및 가로환경개선 ▲노후·불량 주택 정비 지원 ▲CCTV 설치 등이 추진된다.


이밖에 서울시는 착공 전까지 주민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주민협정을 체결하고 협동조합을 설립해 주민이 스스로 마을을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진희선 서울시 주거재생정책관은 “구로동은 재건축정비예정구역이 해제된 후 주민이 참여해 마을계획을 끌어낸 첫 사례고 개봉동은 학생공모전에서 발굴된 지역에서 주민, 학생,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여 마을계획까지 이끌어 낸 첫 사례인 만큼 시민의 관심이 크다”며 “주민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구로·개봉동 노후지, 맞춤형 마을계획 첫 추진 개봉동 이심전심마을의 주거환경관리사업계획안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