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두달 뒤 '9席 민심' 전투가 벌어진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새누리 고희선 의원 별세로 경기화성갑 공석
9월 대법원 판결 따라 대상지역 늘어나 '미니총선'

[아시아경제 김인원 기자]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온 10ㆍ30 재보궐 선거 판이 커질 전망이다. 최대 9곳에서 재보궐 선거가 치러질 것으로 보여 이번 선거는 박근혜 정부를 평가하는 '미니 총선'이 될 가능성이 크다.


새누리당 고희선 의원이 25일 별세함에 따라 수도권 지역인 경기 화성갑이 재보선 실시 대상 지역에 포함됐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재보선이 확정된 지역은 경북 포항남ㆍ울릉과 경기 화성갑 2곳 뿐이다. 그러나 9월30일까지 대법원 확정선고 여부에 따라 대상 지역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 공직선거법 위반 등으로 2심까지 당선무효형을 받아 재보선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모두 7곳이다. 인천 서구ㆍ강화을, 인천 계양을, 경기 수원을, 경기 평택을, 충남 서산ㆍ태안, 전북 전주 완산을, 경북 구미갑 등이 선고를 앞두고 있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서는 최소 5곳, 최대 9곳에서 재보궐 선거에서 실시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수도권, 충청, 호남, 영남 등 지역도 다양해 이번 재보궐 선거가 사실상 미니총선이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번 재보궐 선거는 내년 6월 지방선거의 전초전 성격을 띄고 있다. 박근혜정부 평가와 안철수 세력의 독자화, 거물급 정치인들의 복귀 여부 등이 재보선의 주요 키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재보선 결과에 따라 여야 간 역학 지도가 바뀌고 향후 정국을 이끌어갈 수 있는 구심력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여야 지도부는 재보선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새누리당은 이번 선거가 박근혜정부에 대한 평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인재 영입에 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재보선이 '여당의 무덤'으로 불릴 만큼 선거에서 이기기 쉽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 인물을 내세워 표심을 공략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에 맞서 민주당은 박근혜정부의 공약 뒤집기와 세법개정안 등을 주요 쟁점으로 몰아갈 예정이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행보도 주목을 받고 있다. 안 의원이 "야권연대 없이 독자적인 힘과 노력으로 선거에 임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안 의원 측과 민주당간의 야권주도권을 둘러싼 경쟁구도가 형성될 전망이다. 안 의원이 수도권과 호남 지역에 민주당을 제치고 1석 이상 확보할 경우 창당의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내년 지방선거를 치를 동력을 잃을 수 있어 안 의원의 정치 행보에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야 거물정치인들이 복귀여부도 변수다. 새누리당에서는 서청원 전 대표와 안상수 전 인천시장, 민주당에서는 손학규 상임고문, 정동영 상임고문 등 거물급들의 출마설이 솔솔 흘러나오고 있다. 누가 재보선에 뛰어드느냐,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여야 내부 권력 지형이 바뀔 것이라는 예상이 제기된다.




김인원 기자 holeino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