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통합ㆍ상생 구호 무색한 '갈등 공화국'

시계아이콘01분 00초 소요

[아시아경제 ]대한민국은 '갈등 공화국'이다. 사회적 갈등의 골은 깊고 다양하나 이를 조정하고 치유할 능력은 바닥이 나 있다. 국력은 훼손되고 국민의 마음에는 벽이 쌓인다. 하지만 갈등에서 비롯되는 폐해와 심각성이 우리만의 일인가. 안타깝게도 그렇다. 우리의 사회갈등은 어느 나라보다 두드러진다. 갈등의 정도로 따지면 한국은 선진국은커녕 최악의 후진국이며 그에 따른 손실은 천문학적 숫자다.


새삼 사회갈등의 심각성을 일깨워 준 것은 어제 전국경제인연합회 '국민대통합 심포지엄'에서 나온 주요국 사회갈등 지수다. 박준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한국의 사회갈등지수(2010년 기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7개국 중에서 두 번째로 높다"며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최대 연간 246조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우리보다 갈등이 더한 나라는 종교 갈등을 겪는 터키 한 곳뿐이다.

끊임없는 갈등에 익숙해졌지만 수치로 본 우리의 갈등 정도나 피해는 놀라울 따름이다. 갈등만 제대로 치유해도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복지재원 정도는 단칼에 해결할 수 있다는 얘기 아닌가. 실제 박 수석연구원은 우리의 갈등지수를 OECD 평균 수준으로 낮추기만 해도 1인당 국민총생산(GDP)을 7~21%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갈등이 없는 사회는 어느 곳에도 없다. 중요한 것은 갈등이 어떻게 생겨나고 그것을 어떻게 풀어 가느냐다. 흔히 들을 수 있는 '불통' '반대를 위한 반대' '발목 잡기'나 '편 가르기' 같은 말은 우리 사회의 갈등이 왜, 얼마나 깊어졌는지를 잘 드러낸다. 갈등 조장 세력은 많지만 갈등을 조정, 해결하는 능력을 발휘하는 곳은 없다. 예컨대 갈등 해소에 기능해야 할 정치권이 가장 갈등 조장적인 집단이다. 허황한 공약의 남발이나 지역감정의 자극은 좋은 예다.

정치권만 탓할 게 아니다. 소통 없는 정부,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는 기업, 지역 주민의 이기주의에서 계층ㆍ세대 간 갈등에 이르기까지 누구도 깊어진 갈등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통합과 상생을 외치는 정부와 정치권부터 사회통합의 원리와 규범을 분명히 하고 갈등 치유에 적극 나서야 한다. 상대를 인정하고 타협하는 성숙한 국민의식도 절실하다. 갈등이 득세한 나라에는 성장도, 일자리도, 국민행복도 없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