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도, 외국인직접투자 규제 완화 임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인도 정부가 활기를 잃은 경제의 성장을 촉진하고 자국통화인 루피화의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 외국인직접투자(FDI)의 문을 활짝 열 계획이다.


16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현지 이동통신회사 지분 보유량을 기존에 최대 74%로 제한하던 것에서 완전히 제한을 없애는 쪽으로 정책을 바꿀 계획이다. 또 보험에서 차(茶) 농장 투자에 이르기까지 십여개 항목에 대해서도 규제를 완화하거나 아예 폐지할 예정이다. 현재 26%로 제한돼 있는 방산 기업 투자 한도도 대폭 상향 조정된다.

정유, 원자재 거래, '단일 브랜드(single-brand)' 소매 업종에 적용됐던 FDI 규제는 여전히 유지할 계획이지만 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항목에 투자 규제 완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FT는 전했다.


아난드 샤르마 인도 상무부 장관은 이날 저녁 만모한 싱 인도총리와 다른 부처 장관들과 만남을 갖고 FT를 통해 "결정은 이미 내려졌다"고 밝혔다. 샤르마 장관은 "특히 인도 정부가 수퍼마켓이나 백화점 같은 '다중 브랜드(multi-brand)' 소매업종에 대해 외국인 투자의 길을 활짝 여는 것을 계획해왔다"면서 "매우 빠른 시일내에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팔라니아판 치담바람 인도 재무장관도 지난달 "인도 정부가 조만간 경기부양을 위한 추가 개혁 조치를 내놓을 예정"이라면서 "현재 외국인들의 인도 직접투자 한도를 자유화 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마무리 단계에 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FT는 인도 정부의 FDI 개방 움직임에 따라 영국 보다폰과 노르웨이 텔레노어 같은 외국 이동통신업체가 인도 통신업체의 지분을 100% 인수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회계·컨설팅업체 언스트앤영은 인도 정부의 FDI 개방에 따라 장기적으로 100억달러 정도의 투자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한편 인도의 2012 회계연도(2012년 4월~2013년 3월) 경제성장률은 10년 만에 가장 낮은 5%에 머물렀다. 같은 기간 FDI 규모는 369억달러를 기록해 전년대비 21% 줄었다.




박선미 기자 psm82@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