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국, 자동차구매제한 14개 도시로 확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이라는 오명을 안고 있는 중국이 자동차 구매제한 정책의 확대 시행을 통해 대기의 질 개선에 나선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스지엔화(師建華) 중국자동차제조협회(CAAM) 부비서장은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광저우(廣州), 구이양(貴陽) 등 4개 도시에서 시행하던 신차 구매 제한 정책을 톈진(天津), 선전, 항저우(抗州), 청두(成都), 스좌장(石家莊), 충칭(重慶), 칭다오(靑島), 우한(武漢) 등 8개 도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신차 구매 제한 정책의 확대 시행으로 전국 자동차 판매량의 2%에 해당하는 40만대가 감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신차 구매를 제한할 것인지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자동차 컨설팅 회사인 오토포사이트상하이의 예일 장 대표는 "제한 정책이 처음 시행되는 8개 도시에서 단기간내 자동차 판매량이 급증할 것"이라면서 "소비자들은 정책 시행 전에 자동차 구입에 몰려들 것"이라고 말했다.


자동차업계는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중국은 연간 1500만대 이상의 차가 판매되는 세계 최대의 자동차 판매 시장으로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이 중국 시장에 사활을 걸고 있다. CAAM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의 자동차 판매 증가율은 12.3%를 기록, 1000만대를 넘어섰다. 생산량도 12.8% 증가한 1075만대로 집계됐다.


지난 30여년간 두자릿수 성장을 위해 환경을 희생해 온 중국의 대기오염은 심각한 상황. 베이징시를 포함한 중국 북부지역의 심각한 대기오염이 이 지역 사람들의 기대수명을 평균 5.5년 단축시키고 폐암, 심장질환, 뇌졸중 발병 확률을 높인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박선미 기자 psm82@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