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시아나機 착륙사고]8초전부터 고도·속도 비정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아시아나機 착륙사고]8초전부터 고도·속도 비정상 지난 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공항에서 한국으로 들어온 사고기 탑승자를 구급차에 싣기 위해 구급요원들이 바삐 움직이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조슬기나 기자]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활주로 충돌사고가 난 항공기의 고도와 속도에 이상이 있었다는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1차 조사결과가 나와 향후 사고원인조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8일(현지시간) NTSB는 조종실 녹음기록을 토대로 정리한 1차 조사 결과, 충돌 8초전부터 문제가 시작된 것으로 추정했다.


당시 사고기의 착륙을 위한 비행은 아주 정상적이었고, 시계는 10마일(16㎞) 이상이었다.

또 샌프란시스코 관제탑과 아시아나항공 조종사의 교신 내용에서도 어떤 문제나 주문이 없는 지극히 정상적인 상황으로 파악됐다고 NTSB측은 부연했다.


급박했던 사고기의 시간대별 녹음기록에 따르면 충돌 82초 전 사고기는 고도 1600피트 상공에서 자동항법장치를 껐다. 이는 수동착륙을 위한 통상적인 절차다.


사고 항공기는 충돌 73초 전 고도를 1400피트로 낮췄고, 속도는 시속 315.4㎞로 떨어뜨렸다. 54초 전 고도 1000피트에서 속도는 시속 275.2㎞로 낮아졌다. 34초 전 500피트 상공에 도달했을 때는 시속 247.8㎞, 16초 전 200피트 상공에서는 속도는 시속 218.9㎞로 낮아졌다.


충돌 8초 전 고도가 125피트로 낮아졌을 때 시속 207.6㎞이었다. 1초 뒤 "속도를 높여라"는 외침이 들렸다. 충돌 7초 전 조종사가 속도에 이상이 있음을 인지한 것이다.


3초가 지난 뒤(충돌 4초전) 스틱 셰이커(조종간 진동) 경보가 울렸다. 이는 항공기가 추력을 잃을 수 있다는 걸 조종사에게 알려주는 신호이다.


충동 3초 전 사고기의 속도는 시속 191.5㎞. 이는 활주로 접근시 권장 속도인 시속 252㎞에 모자란다. 50%이던 엔진 출력이 다시 높아지기 시작한 것도 이때다.


충돌 1.5초 전 조종사는 착륙을 포기하고 기수를 다시 올려 복항을 시도했다.


이후 아시아나항공 OZ214편 후미가 방파제에 닿았고, 항공기 내부는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됐다.


NTSB측이 조종실 녹음기록을 토대로 추정한 내용에 대해 국내 한 조종사(기장)은 "스틱 셰이커 경보가 울리는 시간은 항공기 속도와 고도에 따라 즉 상황에 따라 다르다"며 "녹음기록은 말그대로 조종실 녹음기록일 뿐 블랙박스 조사 결과가 나와야 정확한 사고 원인을 알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녹음기록만으로 사고원인을 추정하는 것은 말그대로 추정에 불과하다"며 사고 원인에 대해 섣부른 추측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황준호 기자 rephwang@
미국 샌프란시스코= 조슬기나 기자 seu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