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지난해 전국 34개 지방의료원이 모두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11개 지방의료원에서는 총 158억원의 임금이 체불되는 등 열악한 상황이었다.
3일 보건복지부가 국회 공공의료기관 정상화를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 제출한 '공공보건의료 및 지방의료원 관련 현안보고'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34개 지방의료원의 당기순손실(적자)은 총 863억원이었다. 지방의료원 1곳당 평균 25억원의 적자를 낸 셈이다.
기관별로는 서울의료원이 172억17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진주의료원(69억4700만원), 부산광역시의료원(34억3700만원), 인천광역시의료원(33억1200만원) 등의 순이었다.
또 시설·장비 투자, 퇴직금 중간정산 등으로 안고 있는 부채는 총 5338억원에 달했다. 지방의료원 1곳당 평균 157억원의 부채가 있는 꼴이다. 부채 규모별로는 군산의료원이 425억8900만원, 부산광역시의료원 392조8200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이중 11개 지방의료원은 총 156억원의 임금을 주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지방의료원이 노후한 시설 환경, 의료인력 부족 등으로 경쟁력이 약하고 의료비용은 높은 탓이다. 적자가 누적되니 시설·장비·인력 투자가 미흡하고 이로 인해 수익이 떨어지는 등 재정건전성이 악화되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의료수익을 의료비용으로 나눠 산출하는 의료수지비율은 전체 지방의료원이 평균 80.1%로 민간병원(105.8%) 보다 25%p 이상 뒤쳐졌다. 또 입원 환자 수, 병상이용률은 민간병원에 비해 낮은 수준이나 의료 수익은 민간 종합병원의 82%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복지부는 지방의료원을 육성하기 위해 지역여건에 맞는 공익적 의료분야를 육성하기로 했다. 농어촌은 소아과, 산부인과, 응급 등 필수 진료를 강화하고 중소도시·대도시는 지역여건에 따라 노인·장애인·다문화·모성 등 대상자별 전문화, 보호자 없는 병원·치매·호스피스·재활 등 기능별 특성화를 꾀할 방침이다.
또 국립대병원과 지방의료원간 연계 협력체제를 구축해 의사파견, 교육 훈련, 경영자문, 위탁경영 등의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방의료원의 재정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아래 진료과목 조정, 성과보상체계, 총액인건비제, 임금피크제 등 지방의료원별 경영개선대책을 마련하도록 했다.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