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해안 유류피해, “6년이 돼 가건만…”

시계아이콘01분 1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삼성본사에 모인 피해주민들, “정부와 정치권 무관심, 삼성은 사회적 도덕적 책임 외면” 주장

서해안 유류피해, “6년이 돼 가건만…” 2일 서울 서초동 삼성 본사 앞에서 열린 '삼성 규탄 유류피해민 집회' 때 안희정 충남도지사가 발언을 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태안유류유출사고가 일어난지 6년이 다 되도록 보상안이 마련되지 않아 주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2007년 12월7일 태안군 앞바다에 정박 중이던 유조선 허베이스피리트호가 삼성중공업 크레인선과 부딪히면서 원유 1만900t이 흘러나오는 사상최악의 해양오염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흘러나온 원유는 충남 서해안은 물론 전라도에 이르기까지 375㎞의 해안선을 덮쳤다. 특히 청정해역이던 태안군 일대는 검은 기름으로 심각한 손해를 입었다.

사고 이후 신선한 해산물과 찾아오는 관광객들에 기대어 살아가던 주민들은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잃어버렸다. 수산물유통정보를 보면 태안군의 수산물 위판실적은 원유유출사고 직전인 2007년에 1만4146t이던 게 사고 이듬해 2008년엔 7782t으로 줄었다.


이 여파가 이어지면서 지난해엔 7354t으로 더 줄었다. 태안을 찾은 관광객은 2007년 2088만명이던 게 2008년엔 485만명으로 2/3 이상 줄었고, 지난해에도 787만명에 그쳤다.


사고 6년이 다 되어가는 서해안 바다의 겉모습은 사고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피해주민들 마음의 상처는 아물지 않은 상태다.


사고가해자인 삼성중공업은 2009년 3월11일 서울중앙지법에 선주책임제한 한도액(56억3400만원)을 공탁했다.


삼성은 2008년 2월께 유류사고피해지역 발전기금으로 1000억원을 출연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하지만 피해민들은 발전기금이 5000억원은 돼야한다며 증액을 요구하고 있지만 삼성은 아무 반응도 없다.


정부 또한 사고해결의지가 약했다. 정부는 사고 뒤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중앙행정기관장과 관계기관, 단체장 등 15인을 위원으로 하는 ‘유류오염사고특별대책위원회’를 꾸렸다. 하지만 이 위원회는 사고 후 2차례만 회의를 가졌을뿐 2011년 1월 이후엔 열리지 않았다.


지난해 8월부터 연말까지 운영한 국회 태안유류피해특별위원회도 아무 성과 없이 해산됐다가 지난 1월 특위가 다시 만들어져 오는 9월30일까지 활동한다.


피해주민들 입장에선 답답하기만 하다. 오랜 세월이 지났으나 보상과 생계안정대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피해지역민들 고통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고 성정대 태안군 유류피해대책위원회 위원장 등 4명의 주민들이 목숨을 끊었다.


지난 2일 서울 서초동 삼성그룹 본관 앞에서 열린 피해주민들 집회에서도 정부와 삼성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집회엔 태안군 피해민 440여명을 비롯 충남 서산시, 보령시, 당진시, 홍성군, 서천군 등 6개 시.군과 전북 군산시, 부안군 등 2개 시·군, 전남 영광군, 무안군, 신안군 등 모두 11개 시·군 피해민 2000여명이 모였다.


특히 집회장엔 국회 유류피해특위 소속 국회의원,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완섭 서산시장, 진태구 태안군수 등 피해지역 자치단체장들도 함께했다.


국응복 서해안유류피해민연합회장은 이날 ‘정부와 삼성의 조기 해결을 촉구한다’는 성명서를 통해 “태안유류오염사고가 난지 6년째 접어들었고 국제기금 쪽의 이의소송 등 피해배상은 지지부진 장기화되고 있다”며 ‘가해기업 삼성의 오만함과 정부와 정치권의 무관심’을 비판했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