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갈등을 경영하라"

시계아이콘01분 2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경에 제안하는 대한민국 현장 어젠다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현대사회는 갈등사회다. 경제주체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고 경제주체들의 행동 하나하나가 모두 갈등으로 연결된다. 그만큼 현대사회의 이해관계는 복잡하다. 가정도 기업도 국가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역설적으로 갈등의 조정 능력이 현대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이 된다. 갈등은 어느 조직이나 있다. 갈등을 원천 봉쇄할 수는 없다는 얘기다. 다만 갈등을 어떻게 접근하고 이를 어떻게 조정하느냐가 기업의 경쟁력이 되고 나아가 국가의 경쟁력이 된다.


크게 보면 남북관계는 물론, 미국과 중국, 일본 등을 둘러싼 외교적 이해관계 충돌도 모두 갈등이다. 국회에서 여야의 충돌, 기업 조직 간의 경쟁과 부침 등도 모두 갈등이다. 가정에서 부부간 부모와 자식 간에도 갈등이 존재한다.

더구나 21세기엔 갈등이 입체적으로 부딪히고 있다. 갈등을 잘 조정하고 경영하면 조직 발전의 '동력'이 된다. 그러나 이에 잘못 접근하면 오히려 혼란과 갈등을 부추키게 된다. 갈등 관리, 나아가 갈등 경영이 중요한 이유다. 21세기 국가경쟁력은 갈등 조정 능력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얼마 전 정홍원 국무총리는 울주군에 있는 반구대 암각화를 방문했다. 10년 동안 울산시와 문화재청이 반구대 암각화 보존방안을 두고 치열한 논쟁을 벌여왔던 곳이다. 더 이상 내버려뒀다가는 갈등의 골이 깊어 소모적 논쟁은 물론 국가적 낭비가 초래될 것이란 위기감이 있어 왔다.

정 총리는 반구대 암각화 현장을 방문한 뒤 보름 뒤에 해결책을 내놓았다. 투명댐(카이네틱댐)을 건설해 울산시의 물문제도 해결하고 문화재청이 원했던 문화재 보존도 같이 이끌어냈다.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었지만 울산시와 문화재청은 모두 정부의 해결책을 받아들였다. 10년 동안 지루하게 전개됐던 갈등의 골이 끝을 맺는 순간이었다.


갈등을 관리하기위해선 갈등의 이유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현상의 진단에서 해결책이 나오기 때문이다. 반구대 암각화를 둘러싼 갈등을 해결한 것도 각 이해관계자들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데서부터 시작했다.


정부는 25일 국무회의에서 갈등관리와 해결을 위해 ▲부처 갈등관리 추진체계 확립 ▲컨트롤타워로서의 국무조정실 갈등관리 총괄기능 강화 ▲부처 갈등관리 역량 제고를 위한 인프라 확충 등을 내놓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각 부처에서 운영하고 있는 '갈등관리심의위원회'와 별도로 범정부적 갈등관리 지원·조정을 위해 '갈등점검협의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김동연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각 부처 차관들이 분기마다 갈등관리 실태를 점검한다. 전력, 수자원, 군시설 등의 동일한 형태의 반복되는 갈등의 경우 표준 매뉴얼을 만들기로 했다. 갈등관리 데이터베이스(DB)도 구축된다. '공공기관 갈등관리 매뉴얼'을 6월 중 보급하고 갈등관리 관련 지식과 정보는 물론 주요 해결사례를 통해 갈등관리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호서대 김덕중 행정학과 교수는 "현대사회에서 제기되는 숱한 갈등을 해결하기위해선 우선 갈등의 주체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가장 기본은 갈등의 주체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의견을 듣는 방법"이라며 "공청회든 설명회든 갈등의 주체들이 현재 상황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알아야 하고 정부든 지자체든 이를 받아들이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종=정종오 기자 ikoki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