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시찰'·'엄단' 등 구시대적 용어 19개 순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국어원 자문 및 市 행정용어순화위 심의 거쳐 확정… '인력시장'·'첨두시' 등도 바꾸기로

[아시아경제 나석윤 기자] 서울시가 '보직(補職)', '시찰(視察)', '엄단(嚴斷)' 등 구시대적이고 권위적 의미를 담은 행정용어 19개를 우리말로 순화한다. 또 '인력시장'과 '노점상'과 같이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표현도 바꿔 부르기로 했다.


서울시는 그 동안 관행적으로 사용해 왔지만 이해가 어렵고 시대흐름을 반영하지 못한 용어 19개를 국립국어원 자문과 서울시 행정용어순화위원회 심의를 거쳐 개선키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먼저 순우리말을 활용하되 생소하지 않은 말로 고친다는 원칙에 따라 보직은 '담당업무'나 '맡은 일', 시찰과 엄단은 각각 '현장방문'과 '무겁게 벌함'으로 변경된다. 아울러 인력시장은 '일자리마당', 노점상은 '거리가게'로 바꾸고, 지하철과 버스의 노약자석과 임산부석 등은 이동에 불편을 겪는 자들을 배려한다는 의미에서 '배려석'으로 순화했다.


또한 어려운 한자어로 된 우수관로(雨水管路)는 '빗물관'으로, 첨두시(尖頭時)는 '붐빌 때', 전언통신문(傳言通信文)은 '알림글' 등으로 바꿔 시민들의 이해를 돕기로 했다.

대표적인 왕조시대 용어인 '하사(下賜)'와 '계도(啓導)', '치하(致賀)' 등은 사용폐기를 권고하고, 부득이하게 비슷한 말을 써야 할 경우 계도는 '예고'나 '일깨움', 치하는 '칭찬' 또는 '격려' 등으로 쓸 방침이다. 그 밖에도 (집행)전말(顚末)은 '과정'이나 '경위'로, 기강(紀綱)은 '근무태도'로 변경한다.


서울시는 향후 행정용어를 쉽고 정확하게 쓰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는 한편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 '서울특별시 국어 사용' 조례도 올해 안으로 입안해 올바른 국어사용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김선순 서울시 시민소통기획관은 "서울시는 바르고, 쉽고, 품위 있는 우리말 사용을 통해 구시대적 용어들을 개선해 시민들의 눈높이로 소통하는데 앞장 서겠다"고 말했다.




나석윤 기자 seokyun1986@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