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중국 경제의 부진이 심상치 않다. 최근 발표된 중국의 수출·생산·물가 지표들은 일제히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 증시의 부진 역시 이어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대로 가다가는 '중국발 금융위기'가 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미 경제 격주간지 포브스는 중국 경제의 자금난이 중국의 경기 부진이 심화시키는 요인이라고 최근 보도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한 채권 물량이 목표치를 채우지 못했다. 중국 재정부는 지난 14일 실시한 237일물 국채 입찰에서 총 95억3000만위안(1조7524억원) 어치만을 발행했다. 당초 목표 발행액 150억위안을 크게 밑돈 것이다. 발행 금리도 3.76%를 기록해 만기가 비슷한 시중 채권 금리(3.14%)보다 높았다.
중국 정부의 국채 발행 목표 미달 사태는 중국 경제의 유동성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것이 포브스의 설명이다.
무엇보다 중국은행들은 분기말 자본 확충 기준을 맞추기 위해 현금 사용을 줄이고 있다. 중국 정부가 유동성을 억제하고 있는 상황에서 은행들은 채권에 투자할 수 있는 여윳돈이 부족하다. 대외 경제 상황도 좋지 않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양적 완화 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고 밝힌 이후 중국 금융시장에서 해외자금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중국 신화통신은 자금이탈로 중국 주식시장이 '공포(Panic)'에 빠졌다고 분석했다.
포브스는 그러나 이러한 이유들이 중국이 겪고 있는 자금난의 본질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유동성 축소 정책을 펼치면서 장기적인 경기 부양에 소극적인 것이 근본적인 문제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경기침체가 중국을 강타했지만 원자바오(溫家寶) 전 중국 총리는 시장에 대한 유동성 공급을 중단하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 중국 경제를 이끌고 있는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다르다. 그는 취임 초부터 '작은 정부'를 강조하며 경기부양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리 총리가 현재 중국의 성장세가 적정 범위에 있다고 평가하고 있는 만큼 중국 정부가 더 낮은 경제성장률을 용인할 가능성도 커졌다.
노무라의 장 지웨이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당국의 목표는 긴축을 하느냐 마느냐가 아니라 언제 긴축을 하느냐는 것"이라며 "긴축에 더 일찍 나설수록 비용이 줄어들지만 시간을 끌수록 부실 대출만 늘어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천문학적 수준인 중국의 국가부채 역시 부담스럽다. 중국의 총 신용부채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의 198% 수준에 이르렀다. CLSA증권은 2015년까지 이 비율이 245%에 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의 유동성 부족 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는 그림자 금융(shadow finance) 문제 역시 심각하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중국의 국가신용등급 하락의 가능성까지 언급하면서 그림자 금융을 경고하고 나섰다. 피치가 파악한 중국의 그림자금융 12조9000억위안(약 2372조원)으로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38.5%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앞 다퉈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하향조정하고 있다. 지난 2007년 연 13%에 달했던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연 7~8%에 머물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마저도 달성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많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이 향후 7년간 연 6%를 밑도는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