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최문기 "가계통신비 낮춰도 12만~13만원 수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단말기 성능 좋고 사용량 많기 때문에 요금 낮아지기 쉽지 않을 것
미래부에 소프트웨어 담당 국 신설 추진

최문기 "가계통신비 낮춰도 12만~13만원 수준" ▲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AD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가계 통신비를 아무리 내려도 12만∼13만원 수준이 될 것이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수준(15만2000원)에 비해 14∼21% 낮은 것이다.

최 장관은 15일 정부과천청사에서 가진 미래부 출입기자단과의 오찬간담회에서 가계통신비 경감 방안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최 장관은 "요즘 이동통신 단말기는 옛날 전화기보다 오히려 컴퓨터에 가까울 정도로 기능이 좋아졌다"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며 가격이 높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요금 수준은 그대로이나 사용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가계 통신비 부담이 15만2000원에서 대폭 낮아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그래도 거품을 빼 12만∼13만원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자유롭게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최 장관은 데이터 중심의 요금체계 개편과 이에 따른 데이터요금 수준 조정의 필요성에 대해서 언급했다. 그는 "예전에는 음성통화 위주여서 통신 사업자들이 음성통화를 기본으로 해서 수익을 올리고 데이터 요금은 낮게 책정했다"며 "음성통화 공짜 시대가 금세 올텐데 데이터 요금을 합리적으로 정해서 가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담당하는 국 단위 조직을 만들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그는 "지금은 정보통신산업국 산하의 2개 과(소프트웨어산업과, 소프트웨어융합과)가 소프트웨어를 담당하고 있고 또 정보화전략국 산하에 인터넷정책관이 있는데, 소프트웨어 관련 정책을 강하게 드라이브할 수 있도록 이를 국 조직으로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나영 기자 sn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