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연이은 도발 위협에 편승해 근거 없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어제 본지 2면 보도에서 보듯 북한 미사일 공격 시 가장 안전한 곳은 중국 관광객이 북적이는 서울 도심 백화점이라는 황당한 괴담까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퍼졌다. 게다가 일부 외신의 지나치게 위기감을 조성하는 과잉보도가 한국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줄까 우려된다.
외신들은 지하철역에 상시 비치된 방독면, 지하대피소 숫자까지 거론하며 한국이 위기 상황임을 전했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전쟁 시나리오 지도까지 보여주며 긴장 상황을 분석하는 생방송 보도를 늘리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북한의 개성공단 조업중단 조치가 한국ㆍ미국으로부터 돈을 뜯어내기 위한 협박이라며 한국이 개성공단을 폐쇄해야 한다는 내용의 사설을 게재했다. 해외 언론들이 한국에 분쟁지역 전문기자를 파견하는 등 보도 경쟁이 과열되면서 나타나는 부작용이다. 2010년 연평도 포격 당시에도 전쟁 및 아시아 전문 기자들이 한국에 왔는데 오보와 과잉보도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 국방부에는 이런 외신 보도에 대응할 전담조직이 없다. 그저 외신보도 내용을 스크랩해 지휘부에 보고하는 정도라고 한다. 국방부 단독 외신 대변인을 두기 어렵다면 외교안보 부처 합동 대변인도 가능할 것이다. 책임있는 당국자와 함께 외교안보 담당 외신 대변인이 외신 기자들에게 정확한 실상을 알리면 오보 또는 과잉보도에 따른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줄일 수 있다.
정부는 과거 외환위기 때 경제부처에 외신 대변인을 별도로 두고 한국의 경제 상황을 알린 적이 있다. 현재 한국을 찾은 외신 특파원은 20개 나라 280여명이다. 전 세계 구글 검색에서 한국 또는 북한 관련 검색이 연평도 사건 때보다 10배 이상 늘었다.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취재하기 힘들다는 외신기자들의 목소리를 그냥 넘겨선 곤란하다.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어제 외국인 투자기업 관계자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을 설명한 것은 잘한 일이다. 글로벌 정보 유통시장에선 '총성 없는 정보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폐해를 줄이기 위해 외신들에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