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남 천일염, 고소득 산업 자리매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5초

[아시아경제 장승기 ]

전남 천일염, 고소득 산업 자리매김
AD


전남도는 도내 갯벌 천일염의 생산자 소득이 3배나 늘어나는 등 고부가가치 식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천일염은 지난 2008년 3월 28일 이전까지는 세계 소금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암염으로 인해 법적으로 식품이 아닌 광물로 분류돼 육성보다는 규제가 많았다.


도는 이런 제도적 모순을 해결하고 갯벌 천일염을 세계적 명품으로 육성하기 위해 식품으로 바꿔야 한다는 점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해 식품으로 인정받은 지 올해로 5년째를 맞았다.

도는 천일염이 식품으로 인정된 후 식품 안전에 적합한 염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바닥재 개선사업, 폐슬레이트 처리, 산지종합처리장 건립 등 7개 사업을 지원했다.


지난해까지 투자한 사업비는 총 720억 원이다. 바닥재 개선사업에 319억 원을 투입해 전체 2790ha의 38%인 1065ha를 완료했다. 폐슬레이트 교체에 50억 원을 투입해 전체 6408동의 32%인 2208동을 완료했으며 산지종합처리장 건립비로 276억 원이 투자됐다.


올해도 총 268억 원을 투입해 빠른 시일 내에 염전시설을 친환경 시설로 개선하는 등 기반시설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런 노력에 힘입어 천일염 가격은 2007년 kg당 200원이었던 것이 현재는 420원으로 2배 이상 올랐으며, 생산 매출액도 400억 원대에서 1080억 원대로 3배 정도 올랐다.


또 천일염의 사용량을 확대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가공기업을 집중 육성한 결과 애초 5개에 불과하던 소금 가공공장이 31개로 늘어나면서 기능성 가공소금이 계속 출시되고 있다.




장승기 기자 issue989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