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고리1호기 수명 연장 결정? 2000억 들여 핵심 부품 교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한수원, 수명 4년 남은 고리1호기 4월부터 원자로 헤드 등 핵심부품 교체
시민단체 "스트레스 테스트 먼저 실시해야"
윤상직 장관 "원전 정책의 핵심은 안전성" 입장 다시 밝혀


[아시아경제 김종일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다음 달 2000억원 가량을 투입해 고리1호기의 핵심 부품을 교체할 예정이다.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한수원이 사실상 고리1호기 수명연장(계속운전) 수순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박근혜 정부는 원전 정책의 핵심은 국민의 안전성이 최우선이라며 유럽연합(EU)식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쳐 노후 원전의 수명연장을 결정하겠다고 이미 밝힌 바 있어 한수원이 이번 조치가 정부의 정책에 반한다는 지적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대통령이 노후 원전에 대해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쳐 안전성을 검증하기로 한 만큼 그 이후로 부품교체를 미룰 것을 촉구했다.


한수원은 다음달 4월 12일부터 8월 26일까지 4개월에 동안 고리 1호기에 대한 계획예방정비기간을 계획하고 있는데 이 때 12종 1929억원 상당의 부품을 교체할 예정이다. 교체될 부품은 원자로 헤드(원자로 뚜껑), 제어봉 구동장치, 단열재 등 핵심 부품이다.

한수원이 지난해 국정감사에 국회에 보고한 자료를 보면 2007년 수명연장 때 한수원이 교체한 부품은 34종 559억원인데, 이번 4~8월 계획예방정비기간에는 이보다 3.5배 많은 12종 1929억원어치를 교체할 계획이다. 원자로 헤드와 제어봉 구동장치 등 핵심부품에는 651억원이 들어간다.


1978년 국내 원전 최초로 상업운전을 시작한 고리 1호기는 당초 2007년까지 가동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정부는 2005년 설계수명이 만료된 발전소도 안전성 평가를 통과하면 계속운전이 가능하도록 관련법을 개정했고 2007년 12월 고리 1호기의 10년 연장운전을 허가했다.


반핵단체들은 한수원의 이번 핵심부품 교체는 사실상 고리 1호기에 대한 수명연장 조치라고 지적하고 있다. 부산지역 61개 시민환경단체들로 구성된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는 28일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대통령이 공약한 노후 원전의 고강도 스트레스 테스트를 핵심 부품 교체 공사 전에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전날에도 성명을 내고 "가동기간이 4년도 남지 않은 고리 1호기에 2000억원이라는 거금을 들여 핵심부품을 교체하는 것은 엄청난 낭비가 아닐 수 없다"며 "정부는 전력수급과 무관한 고리 1호기의 폐로와 노후원전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약속을 지켜 시민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이원욱 의원도 "수명완료를 불과 4년 남긴 상태에서 대규모 핵심 부품을 교체하는 것은 사실상 2차 수명연장을 위한 전조"라며 "박근혜 정부가 공약한 것처럼 고리 1호기에 대한 안전성을 100% 담보할 수 있는 테스트를 거친 후 핵심 부품을 교체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정부는 원전 안전의 객관성을 먼저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나와 "원전 정책의 핵심은 안전 최우선"이라며 "국민이 공감하지 않으면 원전 정책은 수정하기 쉽지 않아 원자력 안전위원회 주관으로 안전성 점검뿐 아니라 유럽연합 방식인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 장관은 '노후 원전의 수명연장을 어떻게 할 방침이냐'는 질문에 "원안위에서 안전성이 확인되더라도 추가적으로 그 지역의 수용성, 경제성, 전력수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안전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모든 원전에 대해 올해 7월꺼지 국제전문기관을 통해 독립적으로 특별 점검을 실시해 안전의 객관성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수원은 "이번 조치는 고리 1호기에 대한 안전성을 증진하기 위해 정부와의 협의를 거쳐 진행하는 것"이라며 "2007년 연장운전이 허가됐을 때부터 계획됐던 절차를 밟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종일 기자 livew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