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저소득층 채무상환능력 취약..대책 시급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저소득층 금융대출가구의 채무상환능력이 매우 취약하고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 대책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내놓은 '저소득층 가계부채의 특징과 시사점'이란 보고서에 따르면 저소득층의 평균 월가처분소득은 72만8000원으로 월원리금상환금액(73만9000원)보다 적어 채무상환비율이 101.4%에 달했다.

이는 중소득가구(24.1%), 고소득가구(18.9%)의 채무상환비율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또 저소득가구의 금융대출 잔액은 7229만원으로 연가처분소득 836만원의 8.3배에 달해 중소득가구(1.4배), 고소득가구(1.1배)보다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2억 1661만원의 자산이 있으나 대부분 부동산이고 저축액(주식채권포함)은 1994만원에 불과, 실물자산을 처분하지 않는 한 연체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특히 저소득층 금융대출가구 중에서도 자영업자는 채무상환이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다.


금융대출이 있는 저소득층 자영업가구의 월가처분소득은 57만7000원으로 월원리금 145만1000원을 갚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문제는 저소득층 금융대출가구 중 비연체가구의 채무상환능력도 매우 취약해 연체가구가 더욱 증가할 전망이라는 점이다.


금융대출이 있는 저소득층 중에서 지난 1년간 연체 경험이 있는 가구가 49만7000 가구(31.8%)이고, 나머지 106만7000 가구(68.2%)는 연체 없이 원리금을 상환하고 있다. 그러나 연체 경험이 없는 저소득가구의 경우에도 월원리금이 71만8000원에 달하고 월가처분소득은 72만3000원에 불과해 연체가구로 추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저소득층 금융대출가구의 월가처분소득이 월원리금상환액에도 미치지 못해 부채를 감면해 주더라도 다시 부채가 쌓일 수밖에 없는 구조"라면서 "따라서 채무불이행 저소득층에 대한 채무 감면 대책은 필히 소득 향상 대책과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