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남극과 북극 환경변화…실시간 모니터링 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환경부가 남극과 북극 등 극지대의 환경변화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작업에 들어간다. 지구 온난화 문제 등 지구환경 변화에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박석순, 이하 과학원)은 14일 극지연구소(소장 이홍금)와 극지방의 환경변화 모니터링 연구와 관련된 전문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환경 변화에 적극 대처하기로 했다. 극지는 지구에서 유일한 미개발지역이다. 오염이 되지 않은 지역으로서 지구환경 변화 관련 연구에 가장 적합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극지연구소는 남극세종과학기지와 북극다산과학기지를 운용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지구 온난화 유발 물질 등 지구 환경변화 요소의 지속적인 관측을 위한 정보 공유와 분석기술 협력, 미래 예측에 대한 공동 연구와 인적 교류 등이 포함됐다. 사회적 관심이 높은 지구 차원의 환경오염물질(중금속, POPs 등)과 기후변화 적응 정책 마련이 시급한 물질을 중심으로 연구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POPs(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은 다이옥신 등과 같이 환경 중 잔류성, 장거리 이동성, 생물축적성이 큰 물질을 말한다. 과학원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 극지 환경오염물질 모니터링 및 대기오염물질의 관측 협력과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극지 환경오염물질 분석기법 연구와 교육, 극지연구소의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활용한 대기특성 연구 등을 장기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아라온호는 국내 1호 쇄빙연구선으로 남·북극 결빙해역에서의 극지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 인력의 전문성을 확대하기 위해 연구 장비와 시설을 공동 활용, 세미나 개최 등 인적·물적 교류를 강화할 예정이다.


극지연구소 측은 "세종과학기지는 물론 건설 예정인 장보고과학기지 등 남극 연구 활동에 따른 오염물질 발생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고 과학원의 한 관계자는 "환경과 기후변화 관련 연구의 전문성이 한층 강화되고 청정지역의 오염 물질 규명 연구를 보다 입체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정종오 기자 ikoki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