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성급했던 대표팀, 양야오쉰 역투 만들어줬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성급했던 대표팀, 양야오쉰 역투 만들어줬다 [사진=Getty Images/멀티비츠]
AD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6점차 이상 승리에 대한 부담 탓일까. 대표팀이 제구 불안을 노출한 양야오쉰 공략에 실패했다.

대표팀은 5일 오후 대만 타이중 인터컨티넨탈 구장에서 대만과 201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1라운드 B조 마지막 경기를 치르고 있다. 타선은 3회까지 무득점에 머물렀다. 상대 선발투수 양야오쉰으로부터 1안타 2볼넷을 뽑는데 그치며 초반 기선을 제압하지 못했다.


양야오쉰의 투구를 감안하면 아쉬운 결과였다. 제구가 시종일관 불안했던 까닭. 직구, 슬라이더, 투심패스트볼, 체인지업 모두 그랬다. 포수 가오즈강의 바깥쪽 투심패스트볼 요구에 이용규의 등을 맞췄을 정도였다.

대표팀은 드러난 약점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 6점차 이상 승리 시에만 2라운드에 오를 수 있단 부담 때문인지 1회부터 적극적으로 배트를 휘둘렀다. 양야오쉰과 열한 차례 승부에서 3구 이내 아웃으로 돌아선 건 네 차례. 특히 1회 이용규와 이승엽은 모두 2구 만에 좌익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더그아웃에서 대기하던 동료들에게 양야오쉰을 관찰할 충분한 기회를 주지 못했다.


양야오쉰은 제구가 불안했지만 수준급의 구위를 선보였다. 시속 140km 초반의 직구는 포수 미트에 묵직하게 꽂혔다. 체인지업, 슬라이더의 움직임도 비교적 예리했다. 충분히 예고된 투구 내용이다. 양야오쉰은 지난 시즌 일본 프로야구에서 직구 피안타율 0.246을 기록했다. 슬라이더와 체인지업은 0.106과 0.087. 구위가 제구 불안을 메울 만큼 빼어났다고 할 수 있다.


이날 역시 그랬다. 대표팀은 적잖게 양야오쉰의 공을 통타했지만 안타로 연결시키지 못했다. 그 사이 투구 밸런스를 이어간 양야오쉰은 조금씩 제구력을 회복해갔다. 특히 2회 1사 김현수와 맞대결 2볼에선 내리 스트라이크 3개를 던져 루킹 삼진을 이끌어냈다. 리듬을 계속 이어가진 못했다. 전준우에게 바로 좌전안타를 맞아 다시 조준에 어려움을 겪었다.


양야오쉰은 3회 2사 1, 2루에서 마운드를 내려갔다. 대표팀의 배트 때문은 아니었다. 제구 불안에 스스로 무너졌다. 2사에서 이용규에게 몸을 맞는 볼을 내주더니 이내 7개 연속 볼을 던져 왕징밍에게 바통을 넘겨줬다. 이어진 이승엽이 3루수 파울 플라이로 돌아서 실점은 기록되지 않았다. 대표팀의 성급한 플레이에 불안한 피칭이 역투로 포장되는 순간이었다.




이종길 기자 leemea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