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토부 "4대강 보 철거 신중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4대강 사업과 관련한 논란이 계속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국토해양부는 4대강 보 철거에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4일 내놨다.


국토부는 4대강 사업에서 16개의 보를 건설하게 된 경위에 대해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홍수 등 물문제에 대처하고, 수질·생태계 개선, 레저·문화공간 조성,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차원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4대강 보를 철거하면 선진국 사례나 현재까지 나타난 효과 등을 감안할 때 많은 문제점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보에 채워진 7.2억㎥(팔당댐의 3배)의 수자원이 사라져 가뭄 대응이 곤란하고, 수위도 낮아져(2~4m) 취수장애가 발생할 것이라는 얘기다.

아울러 수면적도 약 30~40% 감소돼 수변경관(캠핑장, 자전거길, 생태공원 등)이 훼손되고 갈수시 유량이 크게 줄어듦에 따라 습지 등 생태계 건강성 및 수질 악화 발생할 것으로 진단했다.


보에 부착된 소수력발전소도 함께 철거돼 친환경 전력생산(연간 최대 2.7억KWh, 5만8000 가구 사용량)도 불가능하고 경고했다.


선진 외국에서 일부 보·댐을 철거한 사례가 있으나, 이는 시설이 오래돼 수명이 다하거나, 당초 계획한 기능이 상실된 경우에 한정된다고 밝혔다.


보의 안전성과 수질문제로 보 철거를 거론하고 있으나, 보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으며 수질은 장기간 모니터링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보의 본체가 아닌 부대시설인 바닥보호공에서 일부 유실·침하가 발생 됐으나, 보 본체의 안전성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고 못박았다.


수질은 4대강 사업 이전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상황이나, 장기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한편 16개 보 지점의 2007년~2009년 대비 2012년 연평균 수질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6% 개선, 총인은 42% 개선, 조류(클로로필-a)는 22% 개선, 화학적산소요구량(COD)는 8% 악화됐다.


국토부는 작년 녹조 발생은 유례없는 폭염과 가뭄이 주요 원인으로 4대강 보 설치가 녹조 발생의 직접적 원인이라고 말하기는 곤란하다고 덧붙였다.




박소연 기자 mus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