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읍시, 동학농민혁명 제119주년 고부봉기 기념제 성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김재길 기자 ]
" 사발통문 거사계획 재현"
"동학농민혁명 최초 집결지 말목장터에서 강연"
"고부관아 점령 재현행사 통해 119년 전 동학농민혁명 의미 되새겨"

정읍시, 동학농민혁명 제119주년 고부봉기 기념제 성황
AD


동학농민혁명 제119주년을 맞아 고부봉기 재현행사가 15일 성대하게 열렸다.

이날 행사는 사발통문이 작성된 전북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주산마을에서 재현된 ‘사발통문거사계획’을 시작으로 동학농민군이 최초로 집결한 이평면 예동마을과 말목장터, 옛 고부관아터 등에서 진행됐다.


행사에는 김생기 시장, 전국동학농민혁명유족회 이왕재 회장, 동학농민혁명백산봉기기념사업회 김원철 이사장, 정읍시의회 고영섭·김규방·박연희 의원과 이한욱 정읍시애향운동본부장 등 300여 명의 지역민이 참여한 가운데 열렸다.

고부봉기는 고부군수 조병갑의 학정에 맞서 전봉준을 중심으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1893년 11월 사발통문거사계획을 결의하고, 이듬해인 1894년 음력 1월 10일(양력 2월 15일) 들고 일어나 고부관아를 점령한 역사적인 사건으로 동학농민혁명의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행사의 특이한 점은 옛 고부군에 속했던 정읍시 이평·고부·덕천·영원·정우·소성면 등 6개면과 함께 동학농민혁명 당시에는 고부군에 속했던 부안군 백산면민과 부안군의 백산봉기기념사업회가 함께 했다는 점이다.

정읍시, 동학농민혁명 제119주년 고부봉기 기념제 성황


기념식에 앞서 개최된 특별강연회에서 강효숙 교수(前한양대학교 연구교수)는 ‘동학농민전쟁은 실패했는가!'를 주제로 “동학농민혁명은 국내에 국한된 사건이 아니라 세계사적인 관점에서 살펴봐야 할 전쟁으로 보다 넓은 틀에서 이해할 것”을 강조했다.


김생기 정읍 시장은 “동학농민혁명의 위대한 정신은 좌절된 것이 아니라 이후 구국항일전쟁과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그리고 해방 후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며 “이번 재현행사를 계기로 정신계승과 선양사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강조했다.


고부봉기기념제추진위원회 김동길 위원장은 "정읍이 동학농민혁명의 고장이고, 고부봉기가 혁명의 진정한 출발임을 대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행사를 개최했다"며 “해를 거듭하면서 보다 내실 있는 행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재길 기자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