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3차 북핵실험]안보리 긴급회의 소집..국제사회 공조할듯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북한이 12일 제3차 핵실험을 강행한 데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곧바로 긴급회의를 소집하기로 했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이날 "우리쪽 요청으로 뉴욕 현지 시간으로 이날 오전 9시(우리시간 12일 오후 11시) 안보리 긴급회의를 소집했다"며 "회의는 안보리 주재 대사들이 모여 논의하며 결과는 김성환 외교부 장관이 의장성명으로 발표한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이번 달 의장국 자격으로 안보리 이사국들에 회의소집을 알렸다. 앞서 지난달 안보리가 채택한 안보리 결의 2087호에는 북한의 핵실험 등 추가도발이 있을 시 중대한 조치(significant action)를 취할 것이라고 예고된 상태다.


김 장관은 이어 반기문 사무총장과 면담하고 러시아ㆍ미국 등 각국 유엔 주재 대사를 직접 만나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양자ㆍ다자 차원의 동시다발적인 공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데 따른 조치다.

유엔 주재 중국대사는 일시 귀국중이나 다양한 외교채널을 통해 의견을 주고받을 것이라고 외교부 당국자는 전했다.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합의기구인 6자회담 우리측 대표인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역시 이날 미국ㆍ일본 등 각국 수석대표와 잇따라 대책을 논의했다.


북한이 국제사회 만류에도 핵실험을 강행하면서 현 수준보다 강도 높은 제재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제사회가 특정국가에 취할 수 있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택한 지 며칠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이 이를 정면으로 거부하고 핵실험을 강행함에 따라 중국이나 러시아 역시 강경하게 나올 가능성도 점쳐진다. 중국은 대북제재엔 소극적이나 북핵문제와 관련해선 원칙적인 태도를 강조해 왔다.


국제사회의 제재국면과 별개로 핵실험을 강행한 만큼 북한 역시 미국과 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이번 핵실험은 미국과의 협상 테이블에서 자신들의 몸값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한 측면이 높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유엔 안보리 결의가 나오자 "자위적인 군사력을 확대,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동시에 "비핵화를 위한 협상은 없지만 한반도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대화와 협상은 있다"고 주장해 왔다. 자신들의 핵무기를 없애기 위해서는 상당한 반대급부가 필요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최대열 기자 dy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