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계 신용위험 또다시 최고 수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기업 대출 수요 늘지만 은행 대출 태도 신중해져

[아시아경제 노미란 기자]올해 1분기 가계의 신용위험이 카드사태 이후 최고 수준으로 조사됐다. 기업의 대출수요는 늘지만 중소기업과 대기업에 대한 은행의 대출 문턱은 더 높아질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2월 10∼24일까지 산업은행,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16개 국내은행 여신 책임자를 면담해 3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조사) 결과'를 보면 1분기 가계의 신용위험지수는 34포인트로 나타났다.

이는 카드사태(2003년 3분기ㆍ44포인트) 이후 가장 큰 값이다. 금융위기(2008년4분기~2009년2분기ㆍ25포인트) 때보다도 높다.


가계신용위험지수는 지난해 2분기를 시작으로 급증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2분기에 22포인트, 3분기 28포인트에 이어 4분기 31포인트로 점점 증가추세다. 2011년 한자리수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3배 이상 급증했다.

한은은 "수도권 주택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와 경기부진의 영향으로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의 채무상환능력에 대한 우려가 심화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의 신용위험도 증가했다. 1분기 대기업의 신용위험은 13포인트로 2009년 2분기(16포인트) 이후 가장 높았다.


중소기업도 34포인트로 2009년 2분기(41포인트) 이래 최대였다.


가계와 기업을 종합한 민간부문의 신용위험지수는 31포인트로 지난해 4분기 30포인트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업을 중심으로 민간부문의 대출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1분기 중소기업 대출수요지수는 지난해 4분기 13포인트에서 16포인트로 상승했다.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창출능력이 떨어지는 업체들을 중신으로 운전 자금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대기업은 16포인트로 금융위기(2008년4분기ㆍ31포인트) 이후 최대다.


그러나 은행의 문은 점점 닫히는 추세다.


1분기 은행의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태도는 지난2008년 4분기 -28을 기록한 후 처음으로 '0'이하를 기록했다. 대기업에 대한 대출태도도 지난 2009년 2분기 -9포인트를 기록한 이후 처음으로 '0'이하를 보였다.




노미란 기자 asiaro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