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데스크 칼럼]대선 주자들, 핵심을 말하세요

시계아이콘01분 30초 소요

[데스크 칼럼]대선 주자들, 핵심을 말하세요 백우진 정치경제부장
AD

직장인이 가장 무서워하는 물고기는? 답은 '아이디어'라고 한다. '아이디어(魚)'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아이디어를 내라는 압박에 시달리곤 하는 현실을 빗댄 말장난이다. 아이디어 때문에 구성원이 큰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건, 조직이 그만큼 아이디어를 원한다는 얘기다. 탁월하거나 고유한 기술을 제외하면 회사의 경쟁력은 아이디어에 좌우된다. 어떤 상품과 서비스를 누구에게 어떻게 판매할지, 기획부터 마케팅, 판매에 이르기까지 회사를 움직이는 것은 아이디어다. 설령 그것이 케케묵은 아이디어일지라도 말이다.


기업에서만 아이디어가 중요한 게 아니다. 세상을 움직이는 것이 바로 아이디어다.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사실 세계를 지배하는 것은 아이디어 말고는 별로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반이론'에서 "자신은 그 어떤 지적인 영향으로부터도 완전히 벗어나 있다고 믿는 실무가들도 대개는 이미 죽은 어떤 경제학자의 노예"라고 설명했다.

조직과 사회가 발전하려면 좋은 아이디어를 선택해 우선순위에 따라 중요한 일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이 과정을 챙기는 게 리더의 역할이다. 리더가 참신하면서도 파급효과가 엄청난 구상을 직접 제시한다면야 더할 나위가 없겠으나, 복잡한 현대사회에서는 그런 리더가 나오기 어렵다. 차선의 리더는 대신 방향을 잘 잡고 그 관점에서 좋은 생각을 이끌어내고 선택하면 된다. 그다음에는 구성원과 소통하며 이를 전파하고 설득해 실행함으로써 성과를 내야 한다.


리더는 신문사로 치면 데스크다. 데스크는 한정된 지면에 모든 뉴스를 담을 순 없다. 뉴스를 선별해 키울 뉴스는 과감하게 키우고 버릴 건 버려야 한다. 대통령선거 후보들은 이런 측면에서 어떤 리더인가. 대선을 앞두고 쏟아지는 아이디어 속에서 선후와 경중을 가른 뒤 무언가 핵심을 정해 집중적으로 밀고 있나.

이런 측면에서 보면 세 후보는 리더의 역할을 미루거나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는 지난 7월10일 출마연설에서 경제민주화를 일자리ㆍ복지와 함께 3대 과제로 제시했다. 이어 8월20일에는 "경제민주화 마스터플랜을 이른 시일 내에 공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경제민주화실천모임이 관련 법안을 논의했고, 경제민주화를 놓고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이한구 원내대표가 설전을 벌였지만, 박 후보는 그동안 아무 매듭도 짓지 않았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는 이정우 경제민주화위원장이 '가장 좋은 세금'이라며 주장한 종합부동산세 강화 방안에 대해 한번도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종부세는 부분적으로 위헌과 헌법불합치 판결을 받았다. 문 후보는 종부세 강화에 동의한다면 이를 채택해 반대하는 사람들을 설득해야 한다. 동의하지 않는다면 종부세 아이디어를 버려야 한다. 어느 쪽이든 뜻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


안철수 무소속 후보는 자신의 생각을 바꿨다. '편집방향'이 무엇인지 독자들을 헷갈리게 했다. 안 후보는 7월에 낸 대담집 '안철수의 생각'에서 "중하위 소득계층도 형편에 맞게 복지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28일 발표한 자영업자 대책에서는 영세사업자의 세금부담을 줄이기 위해 간이과세자를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간이과세자 확대는 세원 투명성을 저해하는 데다 근로소득자와의 과세 형평도 맞지 않는다.


세 후보가 조만간 각각 앞의 현안에서 가닥을 잡을지 모른다. 그렇게 되면 이 글은 쓸데없는 참견이 될 것이다. 그래도 좋다. 이제 대선까지 40여일 동안에는 세 후보가 '편집자'로서 논조를 뚜렷하게 드러내기 바란다.






백우진 정치경제부장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