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 Revisionism: Paper Works by Lee Seong-oh
이승오는 초기 작품에서 한국 매체를 통해 접근 가능한 초상화에 주로 집중하고, 자신의 종이 콜라주 기법을 통해 이들 초상화를 변신시켰으며, 이는 결국 유명 서구 예술가들의 작품 전유로 이어졌다. 당시 그의 작업은 영어 단어 “persuasion(설득)”으로 가장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자신의 매체 기호 선정이 의미가 미리 정해져있기 보다는 열린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관중을 “설득”하고자 노력했다. 이는 상당 부분 프랑스 후기 구조주의 철학의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전체론적 디자인 측면에서 그림이나 다른 매체를 전유하고자 한 그의 결정은 한 때 팝아트로 간주되던 의미 맥락을 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는 다른 예술가의 작품을 주제로 선택하고, 절단된 종이를 이용하여 또 다른 예술 형태로 그것을 변신시키고자 한다.
In his earlier work, he concentrated primarily on portraits made assessable through Korean media sources and transformed them through his paper collage technique. This eventually gave way to appropriating works of art by famous Western artists. The English word “persuasion”may best describe what Lee was doing at the time. He was trying to “persuade”his viewers that his selection of signs from the media could function openly rather than with predetermined meanings. This was very much within the context of French Post-Structualist philosophy. Therefore, Lee’s decision to appropriate paintings and other media in terms of holistic design could open the context of meaning once attributed to Pop art. He wants to use other artist’s work as his subject matter and then transform back into another form of art through the use of cut-paper.
1960년대 초 상업 문화를 표상하던 것이 현재 상업 문화가 되었다. 50년 전 뉴욕에서 워홀과 리히텐슈타인이 만든 작품은 상업을 예술 밖으로 밀어내는 것이 아니라 상업과의 대화를 열고자 한 시도로 볼 수 있다. 이승오의 작품에서 워홀의 “마를린”은 워홀이 실크스크린 작품에 마를린의 이미지를 사용하기 전부터 존재했던 상업 영화 문화의 기호로 변신했다. 워홀과 비슷하게 이승오는 예술과 문화 사이에서 일종의 가역 소용돌이를 만들고 있다. 중요한 것은 예술과 문화를 분리하는 대신 그 둘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승오는 현대 한국 예술에서 이 방향의 최전선에 있는 예술가들 중 한 명이다.
What once represented commercial culture in the early sixties has now become commercial culture. One might understand the work of Warhol and Lichtenstein fifty years earlier in New York as trying to open up a dialogue with commerce instead of pushing it outside of art. In the work of Lee, Warhol’s Marilyn has been transformed back into a sign of commercial film culture, where it began before Warhol used her image in his silkscreens. Similar to Warhol, Mr. Lee is creating a kind of reversible vortex between art and culture. The point is to see the relationship rather than separating the two. Lee, Seong-oh is one of the artists at the forefront of this direction in contemporary Korean art.
이승오가 자신의 종이 스크린과 “그림”을 위해 선택하는 이미지들은 호기심을 자아내는 동시에 도발적이다. 본인은 이들 이미지가 팝과 키치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종종 이해한다. 예를 들어, 캔버스에 실크스크린한 네 송이 꽃을 묘사한 1960년대 워홀 작품을 바탕으로 한 그의 작품은 반 고흐의 가장 유명한 두 작품, 즉 자주색 붓꽃이 담긴 화병과 밝은 노란색 해바라기와 비교할 수 있다. 이승오는 이 두 주제를 수많은 버전으로 재현함으로써 이들 이미지에 강력하게 집중하고 있음을 보였다. 미술 역사가들은 워홀을 미국 팝아티스트로 보는 반면, 반 고흐는 상징주의자나 후기 인상파로 간주한다. 그런데 이들 이미지가 매체를 통해 너무나도 자주 노출되었기 때문에, 이들에게 진부하거나 키치한 성질이 부여되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창조력이 풍부한 이승오의 손가락에서 이들에 대한 조작이 멈추지는 않을 것이다.
I find the kinds of images that Lee, Seong-oh selects for his paper screens and “paintings”both curious and provocative. Often I see them as suspended somewhere between Pop and Kitsch. For example, the works based on Warhol’s four flowers silkscreened on canvas from the sixties might be compared with two of Van Gogh’s best known works: the vases of the purple irises and the bright yellow sunflowers. By producing numerous versions of both themes, Lee has shown a strong commitment to these images. Whereas art historians may identify Warhol as an American Pop artist, they would tend to view Van Gogh as either a Symbolist or a Post-Impressionist. Yet the fact that these images have been exposed through the media so frequently gives them a clicheor kitsch quality. Still, this does not prevent their further manipulation by the fecund fingers of Mr. Lee.
자신이 구입하는 이미지와 친숙한 고객들이 예술 작품을 많이 구입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이는 실제 예술 작품보다 친숙한 이미지가 시장에서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뜻일 수도 있다. 이승오에게 있어 꽃 이미지-워홀에서 나온 것이든, 반 고흐에게서 나온 것이든-는 중재된 생산 라인에서 취한 기호에 불과하다. 이승오는 자신이 정의하는 예술에 따라 생산 라인을 선택하고 수정한다. 현대 미술에서 이 전략을 둘러싼 담론은 1970년대 말 뉴욕 리처드 프린스, 세리 래빈 및 앨런 맥컬럼과 같은 예술가들 사이에서 시작되었다. 이 담론의 요점은 이미지와 관련하여 시장의 작용 방식을 해체하고, 이념적 매개변수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주제(꽃)의 “순수성”뒤에 숨어 이 개념이 매개변수가 문화적으로 다르면서도 세계적으로 매우 비슷한 경로에 놓여있는 한국 예술계로 진입하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라고 예상한 이들도 있을 것이다.
There is no doubt that sales in art are most forthcoming from clients who are familiar with the images they are buying. This may further suggest that familiar images are more important on the market than actual works of art. For Lee, images of flowers ? whether originating with Warhol or Van Gogh -- are merely signs taken from the mediated production line, which he has chosen to take and modify according to his definition of art. The discourse that surround this strategy in contemporary art began in the late seventies in New York with artists, such as Richard Prince, Sherrie Levine, and Allan McCollum, among others. The point was to deconstruct how the market functioned in relation to images and to examine the ideological parameters. Hidden behind the “innocence”of the subject matter (flowers), one might have predicted it was only a matter of time before this notion entered into the Korean art world, where the parameters are culturally different, yet globally very much on a similar track.
따라서 본인은 이승오의 작품에서 “팝 수정주의”를 얘기하면서 팝이라는 개념이 오늘날 한국 예술의 맥락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수정되는지를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본인이 언급했듯이, 한 때 팝 아트로 여겨지던 것이 오늘날 키치나 진부 예술로 재평가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이승오의 정교한 종이 작품 맥락에 놓인 이들 중재 이미지의 친숙함은 일종의 마케팅 연료를 제공하며, 다시 예술로 전환된 이들 기호의 의미 및 가치와 관련된 더욱 중요한 사안들을 종종 우회한다. 이승오는 자신의 아이디어로 계속 전진하면서 이와 같은 사안에 관심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Therefore, when I talk about a “Pop Revisionism”in Lee, Seong-Oh’s work, I am trying to understand how the idea of Pop might be understood in Korean art context today and how it is being revised. As I am suggesting, what at one time was identified as Pop art is being re-evaluated today in terms of kitsch or clicheart. In doing so, the familiarity of these mediated images when placed in the context of a sophisticated paper work by Lee offers a kind of fuel for marketing, often by-passing some of the more important issues that concern the meaning and value of these signs when placed given back to art. I sense that such concerns are of interest to Lee, Seong-Oh as he continues to move ahead with his idea.
▲Robert C. Morgan, Ph.D. is Professor Emeritus in Art History at the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He is a painter, curator, international critic, and lecturer, who writes frequently on the work of Korean artists.
▲Robert C. Morgan, Ph.D.는 로체스터 공과대학 예술사 교수이다. 그는 또한 화가, 큐레이터, 국제 비평가 및 강사로서 한국 예술가의 작품에 대한 글을 종종 쓰고 있다.
◇이승오
중앙대 예술대학 회화학과 및 일반대학원 서양화학과 졸업했으며 갤러리 K, 관훈갤러리, 토탈미술관 등의 개인전과 신소장품전(국립현대미술관) 등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Lee Seung-oh graduated from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Department of Painting and Graduate Schoolof Western Painting. He held solo exhibits at Gallery K, Gwanhun Gallery and Total Art Museum, while also participating in a number of group exhibits such as the New Collection Exhibit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이코노믹 리뷰 권동철 기자 kdc@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