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하는 사람…張 思翼
장사익은 몸살 앓는 몸처럼 뜨거움으로 가득 찬 노래를 온몸으로 부르는 사람이다. 가없는 편린들이 그가 토해내는 소리 안에서 비망록처럼 원형(原形)으로 빛나고 마음을 뒤흔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 멜로디를 따라가면 ‘내’삶과 함께 변주되는 노래를 만난다.
밖이 훤히 보이는 거실의 널찍한 창. 장사익(63)선생은 달짝지근하며 향이 그윽한 작설차(雀舌茶)를 권하며 “따뜻할 때 마시면 속이 시원해 질 것”이라 거푸 몇 잔을 쭉 들이키라 했다. 햇빛, 바람, 안개가 스스로 들어와 노닐다 심심하면 온다간다는 말없이 나갈 공간에 고담(枯淡)한 그림 한 점이 눈에 들어왔다.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 복사본이 키 낮은 병풍에 깔끔하게 가지런히 펼쳐져 있었다. 집 한 채와 고목(古木) 몇 그루 그리고 여백…. 그는 적적하기 그지없는 고요한 겨울풍경을 바라보며 농축된 먹빛 속에서 홀로이 소리의 군더더기를 비우는 시간을 어루만지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 여수 엑스포 공연 후 음악은 하지 않고 생각만 합니다. 잠자고 노는 것이 일인데 이런 더위엔 자연도 사람도 좀 쉬어야 하지요”라며 “노래는 본질적으로 기꺼이 내놓는 것입니다. 사랑을 교감하고 슬픔을 나누고 신뢰를 깊게 하는 것은 노래의 힘”이라고 말했다.
오래간만에 7집 ‘역(驛)'을 발표했다. ‘잎사귀 하나가 가지를 놓는다. 한 세월 그냥 버티다보면 덩달아 뿌리내려 나무가 될 줄 알았다 (중략) 세상은 다시 역일 뿐이다’라는 김승기 시에 선율을 얹어 표제로 삼았다.
“충남 홍성군 광천읍이 고향입니다. 아버지는 엄격하시고 흥도 있으셨던 분이셨지요. 제가 장성(長成)을 해서도 집으로 갈 때면 늘 기차역에서 저를 기다리셨죠. 참 애틋하셨습니다. 그리고 세월지난 어느 날 고향에 기차를 타고 갔더니, 바람만이 와락 가슴으로 밀려왔지요.”라고 회상했다.
노래의 큰 울림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관객은 하나를 전하면 하나를, 일백이면 일백으로 듣습니다. 가령 3000명 관객이 하나 되지 않으면 그 수(數)만큼 부서집니다. 그러나 저는 엄마가 치성(致誠)을 다해 기원하듯 죽을 힘 다해 정성스럽게 부릅니다. 제 마음과 똑같이, 이심전심이 통할 때 관객은 하나로 호응 합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노래인생 18년을 돌아보며 이야기를 꺼냈다.
“중년의 삶에서 노래의 길로 들어서겠다는 희망은 현실적으로 가느다란 끈을 잡는 것에 불과하지 않았겠습니까? 그래서 저는 어느 순간 꽃이 쫙 피듯 노래의 세계가 열렸다라고 말합니다. 봄엔 남들 다 꽃필 때 겨우 싹만 나오고, 폭염과 장마와 태풍을 온 몸으로 감당하며 혹독한 시간을 거친 후 만추(晩秋)의 끝에 피어나는 한 송이 국화꽃처럼 말입니다. 그러고 보면 제 인생은 처음부터 음악이라는 탯줄을 잡고 살아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장사익은…
‘뜻’으로 부르는 生의 깊은 울림
“마흔 다섯에 인생의 낮과 밤이 갈려졌다. 노래를 하지 않았던 인생과 노래를 한 인생이 딱 나눠진 것이다”라고 비유했다.
“젊은 시절 객지에서 생업을 유지하는데 힘이 들었다. 나는 여러 직장을 옮겨 다녔다. 돌아보면 그 고단함은 노래를 향한 간절한 희망의 에너지가 되었고 내면 깊숙이 삶을 들여다 볼 수 있게 했던 소중한 시간을 제공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1994년 첫 소리판 공연을 열어 데뷔했다. 그리고 1995년 1집 ‘하늘 가는 길’이후 올봄에 7집 ‘역(驛)’음반을 냈다.
“나는 불혹(不惑)의 나이에 무대에 섰다. 물론 이전에도 우리 소리도 배우고 나름의 노력을 게을리 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중년에 마치 그렇게 가야하는 길 인양 필연처럼 노래를 잡았다. 그리고 불렀고 행복했고 과분한 사랑을 받았다. 그제야 노래 인생이 동트기 시작했었다”라고 돌아보았다.
그러면서 “굽이굽이 흐르는 노래를 통해 관객과 소통하고 감동을 나누는 지금이 즐겁다”고 했다. 어쩌면 가슴깊이 삭혀온 삶의 애환을 심혈을 기울여 들려줌으로써 관객은 가까이에서 ‘나’에게, ‘나의 이야기’로 노래하는 그에게 매료되는지도 모른다.
그는 유행이라는 시류에 편승하기보다 뜻으로 부른다. 그래서 ‘인생은 살만한 것’이라는 그의 철학은 이정표 없는 봉우리를 넘어가는 생의 걸음걸음에 깊은 성찰의 곡조로 다가오는 것이 아닐까.
이코노믹 리뷰 권동철 기자 kdc@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