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손은정의 현장에서] 대한골프협회의 '무기력증'

시계아이콘01분 18초 소요

[아시아경제 손은정 기자] 최근 중국 대륙이 골프로 들썩거리고 있다.


평샨샨이 중국인 최초로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에서, 그것도 메이저 우승을 일궈내 파란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세계 경제 위기와 맞물려 중국 골프 역시 28년 만에 최악의 불황을 겪고 있는 시점이었다. 부동산 거품이 꺼지면서 단기간 급성장했던 골프산업에도 제동이 걸렸다. 중국 정부는 그러나 평샨샨의 우승을 계기로 골프산업은 물론 선수 육성까지 지원할 명분을 마련했다.

최근에는 '골프백서'까지 발간했다. 현지에서 활동 중인 골프칼럼니스트에 따르면 중국신용은행의 모회사인 조향그룹이 중국 전역의 골프산업 현장을 직접 방문해 인터뷰하고 자료를 취합했다고 전했다. 골프대회 통계 등 기본적인 조사부터 시작해 골프장의 운영 행태와 수자원관리, 농약 사용량, 입장객의 소비행태까지 조사 항목도 방대하다.


그렇다면 골프역사 100년이 넘는 한국은 어떤가. 한국골프의 메카는 당연히 대한골프협회(KGA)다. 골프단체 맨 위 꼭짓점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골프장에서도 회비를 걷는 등 재원도 풍부하다. 하지만 KGA가 내놓은 통계는 2007년 얄팍한 '한국골프지표' 이후 전무하다. KGA가 주관하는 대회 소식 등을 싣던 협회보조차 지난해 여름호가 마지막이었다.

한국은 현재 LPGA투어에서 매 대회 출전자의 4분의 1이 넘는 선수들이 융단폭격을 퍼붓고 있다. 미국프로골프(PGA)투어 역시 최경주와 양용은에 이어 노승열과 배상문 등 매년 대형 루키들이 진입하고 있다. 일본 여자골프는 올 시즌 대회 절반 이상의 우승컵을 쓸어왔다. 이쯤 되면 골프는 한국을 전 세계에 알리고 국가 위상을 높이는데도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는 셈이다.


골프는 더욱이 회원권시장 규모가 한때 30조원에 육박했고 골프장과 골프용품 등 엄청난 산업군을 형성하고 있는 종목이다. 그만큼 데이터 관리도 절실하다. 관련업계에서는 골프 통계자료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고 하소연한다. '한국의 골프발전에 진력하고 국내외적으로 대표하는 기관'이라는 KGA에서 '골프백서' 하나 해결 못한다는 게 이해가 가지 않는 대목이다.


하기사 KGA에서 주최하는 매경오픈의 라이브 스코어에 오류가 나자 조속한 문제 해결은커녕 "하청업체의 실수"라며 '남 탓'으로 돌리는 KGA가 한국골프 발전의 근간이 되는 이런 일을 추진할 능력이나 있는 지도 의문이다. 지난 2월 허광수 신임 회장이 취임하면서 "한국골프의 중심에서 무궁한 발전을 위해 총력전을 펼치겠다"고 선언했지만 조직은 여전히 관료적이고, 소극적이다.


지난해 말 한국의 LPGA투어 100승을 축하한다는 의미의 '대한민국 골프비전 선포식'을 성대하게 여는 걸 보면 '젯밥'에는 관심이 있어 보인다. 비전 선포도 없었지만 200여명의 관계자가 참석해 결과적으로 거액의 돈을 낭비했다는 비난을 받은 행사였다. KGA는 한국 골프의 모태다. 실속 없이 요란한 잔치를 치르는데 급급할 것이 아니라 한국 골프가 거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비축할 수 있도록 내실을 기해야 한다.






손은정 기자 ejso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