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부산저축은행 청탁 논란 적극 해명' '친노색 지우기'는 숙제
김두관 '도지사직 사퇴', 손학규 '한나라당 출신 꼬리표' 약점
[아시아경제 김종일 기자] 불과 6개월 앞으로 다가온 대선을 앞두고 야권 대선 주자들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각 후보들은 각자의 강점은 살리고 약점을 지우는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대선주자들은 각자의 '약점'이 치명적인 '아킬레스건'이 되지 않게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며 상대방의 공격을 차단하고 있다.
문재인 '부산저축은행 청탁 논란 적극 해명' '친노색 지우기'는 숙제
민주통합당 대선주자 중 선두를 달리고 있는 문재인 상임고문은 최근 부산 저축은행 청탁 논란 진화에 주력하고 있다. 문 고문은 2일 자신의 트위터에 "부산저축은행과 관련해 검찰로부터 어떤 혐의를 받거나 수사ㆍ내사를 받은 사실이 없다"며 "고소인측 참고인 조사를 받은 것을 거꾸로 피의자로 다룬 언론은 정말 대단한 신문"이라고 이례적으로 언론에 쓴소리를 했다.
문 고문 측도 검찰이 문 고문을 로비 의혹과 관련한 혐의로 소환 조사한 뒤 무혐의 처리할 방침이라는 일부 보도에 대해 "악의적 오보"라며 강력 대응 방침을 밝혔다. 문 고문의 이 같은 대응은 '부산 저축은행' 사태에 대한 '뿔난' 부산 민심에 일부 보수언론에 의한 흠집내기로 불똥이 뛸까 서둘러 진화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친노(친노무현)'색을 지우는 것도 문 고문에게는 숙제다. '이·박 연대(이해찬 당 대표, 박지원 원내대표 역할분담)' 역풍으로 당내 '친노'에 대한 반발과 '비노(비노무현)' 인사들의 소외감을 확인한 문 고문은 최근 적극적인 당내 인사들과의 스킨십과 소통으로 친노색 빼기에 주력하고 있다. 문 고문은 지난 15일 기자간담회에서 "친노라고 지칭되는 사람이 캠프에서 중심으로 구성되면 폭이 좁다는 이미지를 줄 것"이라며 비노진영 인사들도 캠프에 영입할 뜻을 내비치며 당내 외연 확대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김두관 '도지사직 사퇴', 손학규 '한나라당 출신 꼬리표' 약점
김두관 경남지사는 도지사직 사퇴로 인한 경남도민과의 약속 불이행과 낮은 지지율이 큰 부담이다. 7일 도지사직을 사퇴하고 8일 대선출마를 공식선언할 예정인 김 지사는 경남도민들에게 끝까지 이해를 구하기 위해 7일까지 경남도민들에게 사과로서 양해를 구한다는 계획이다.
낮은 지지율도 김 지사의 걱정이다. 지난 2개월 동안 '문재인 한계론'을 대신할 '김두관 대안론'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지만 정작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은 3% 벽을 넘지 못하는 등 대중 정치인으로서의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또 지방행정에 있어선 탁월했지만 중앙정치 경험이 짧아 대선주자로서 능력 검증이 덜 됐다는 지적도 있다. 최근 당내 개혁모임인 '민평연' 초청 토론회에서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줘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김 지사 측은 "중앙정치에 뛰어들면 곧바로 큰 정치인으로서의 진가가 발휘될 것"이라며 "김 지사를 돕는 현역 의원을 중심으로 한 멘토단 등 지지 세력의 세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김 지사가 단점으로 지적받는 부분을 충분히 보충 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손학규 상임고문은 '정체성'과 확실한 야성(野性)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발목이 잡혀 있다. 손 고문이 한나라당 출신이라는 이유로 야권의 텃밭인 호남에서 지지율이 낮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또 현재 당내 주도권을 친노계와 구민주계가 장악하고 있어 당내 입지도 예전 같지 않다는 평가다.
인지도에 비해 낮은 지지율과 호감도도 문제다. 당 안팎에서 손 고문은 '준비된 후보', '능력 있는 정치인'이라는 평가가 많지만 여의도를 벗어나면 대중들에게 큰 호감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3일 열린 '민평연' 초청 토론회에서도 이목희 의원은 손 고문에게 "강렬한 이미지와 정치적 감각, 대중성이 부족하다"면서 "한나라당에 있었던 전력도 아직 본인 발목을 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손 고문 측은 "대선주자들 가운데 당 기여도가 가장 커 진정성이 전해지면 상황이 달라질 것"이라며 "최근 '저녁 있는 삶' 슬로건으로 호응을 얻고 있는 등 '준비된 후보'인만큼 잘 이겨낼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종일 기자 livew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