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연내 국가신용등급 'AA' 시대 열릴까

시계아이콘01분 2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S&P는 회사이름의 S가 '스터번(stubborn·완고한)'의 첫글자가 아니라는 걸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7년 가까이 제자리에 묶어둔 한국의 신용등급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지난달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만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제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와 비공개 회의를 마친 뒤 이렇게 꼬집었다. '지정학적 위험'을 이유로 2005년 7월 이후 6년 9개월째 'A(안정적·stable)'에 묶어둔 국가신용등급을 올려줄 때가 됐다는 얘기였다.

정부가 국가신용등급 '더블에이(AA)' 시대를 열기 위해 열심히 뛰고 있다. 국내외 경제사정은 팍팍하지만 적어도 4년 뒤를 내다보고 조정하는 신용등급을 매길 땐 월반(越班·성적이 뛰어난 학생이 학년을 뛰어넘어 진급하는 것)도 기대해볼만 하다고 말한다.


세계 3대 신평사들이 한국 경제에 준 점수는 모두 '싱글에이(A)'다. S&P는 'A(안정적)' 무디스는 'A1(긍정적)' 피치는 'A+(긍정적)' 등급을 줬다. 지난해 말부터 피치와 무디스는 잇따라 한국의 신용등급 전망을 '긍정적'으로 높였다. 이걸 고려하면 7년 가까이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 묶어둔 S&P의 점수는 꽤 보수적이다. 등급 전망은 1년에서 1년 반 안에 신용등급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힌트를 주는데 이걸 높인다는 건 신용등급 상향조정 가능성을 열어둔다는 의미다.

박 장관은 이 문제에 특별히 욕심을 내고 있다. 개방도가 높아 대외 변수에 잘 휘둘리지만 우리의 경제 체력은 튼튼하다는 믿음이 있어서다. 지난달 정신없이 돌아간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기 중 S&P를 따로 만난 건 '나머지 두 회사와 비슷하게 균형을 맞춰달라' 압박하기 위해서였다.


21일 1급 회의에서도 박 장관은 '제대로 평가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5월과 6월 국제통화기금(IMF)·무디스와 벌이는 연례협의 과정에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을 정확히 전달해 평가받을 수 있도록 충실히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이달 말부터 7월까지 이어지는 연례협의에서 논리전에 밀리지 말라는 당부다.


1주일 뒤면 IMF 실사단이 2주 일정으로 한국에 온다. 재정부를 시작으로 각 경제 부처와 주요 기업들을 찾아 경제 전반의 사정을 살피게 된다. IMF는 4월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3.5%, 내년 4.0%로 유지했지만, 유로존 사태의 진정·미국 경제의 회복세를 전제로 놓은 숫자여서 협의 중 어떤 입장을 전할지 관심이 높다.


6월 초에는 무디스 실사팀이 한국을 찾는다. 등급 전망을 높인지 두 달만이다. 공기업 등급을 나라 등급과 별개로 매기겠다 경고한 마당이어서 협의 중 공기업과 가계부채에 대해 어떤 의견을 내놓을지 보는 눈이 많다.


7월 일정도 빡빡하다. 월초에는 피치가, 중순에는 S&P가 한국에 온다. 유독 짠 점수를 주는 S&P가 이번 실사 뒤엔 어떤 결론을 내릴지도 관심사다. 피치가 한국의 등급 전망을 높인 게 지난해 11월이니 낙관적으로 본다면 올해 한국의 신용등급이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


김이태 재정부 국제금융과장은 "대내외 경제 상황이 녹록지는 않지만 국가 신용등급 조정은 적어도 4, 5년 뒤를 내다보고 하는 일"이라면서 "등급 전망을 높일 때 이미 위험 요인도 고려된만큼 신용등급 상향 조정이 머지 않았다는 기대감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박연미 기자 chan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