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큰맘 먹고 찾은 '뷔페' 체하기 딱 좋겠구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1초

'식사시간 40분' 눈칫밥, 뷔페의 횡포

-패밀리레스토랑 손님들 체하겠습니다
-빕스.애슐리 등 "회전률 높이려는 고육지책" 소비자 분통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직장인 장보은(28)씨는 점심시간에 동료들과 함께 용산역 아이파크에 있는 한 회전 초밥집을 찾았다. 한 접시에 1500원이라는 매장 점원 설명에 아침을 굶은 장씨는 10접시 이상 먹을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1만9800원인 무제한 뷔페 코스를 선택했다. 그러나 곧 이어진 점원의 설명에 장씨는 기분이 확 상했다. 무제한 코스는 제한시간이 40분이라는 것. 장씨는 "제한시간이 있는 것도 기분이 나쁘지만 40분은 너무한 게 아니냐"면서 "식사를 하러 온 손님에게 후딱 먹고 나가라는 것 같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뷔페 형식으로 식사를 제공하는 외식업체들이 식사 제한시간을 두고 있어 고객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식사 후 후식까지 한 자리에서 편안하게 즐길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뷔페식 패밀리레스토랑이 큰 인기를 끌었지만 최근 들어 이들 업체들이 식사 이용시간을 2~3시간으로 제한하고 있는 것. 업계에서는 고객 서비스를 높이기 위한 차원이라고 해명하지만 소비자들은 제 돈 내고도 손님 대접을 받지 못한다고 불평하고 있다.


"큰맘 먹고 찾은 '뷔페' 체하기 딱 좋겠구만" ▲용산역 아이파크에 있는 한 회전초밥집. 무제한 뷔페식 코스의 식사 이용시간은 40분밖에 되지 않아 손님들은 허겁지겁 먹고 후딱 나와야한다.
AD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표적인 패밀리레스토랑 빕스는 샐러드바 이용시간을 3시간으로 제한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평일 점심 샐러드바 이용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로 한정지었으며 이후에 퇴점할 경우 점심 샐러드바 보다 더 비싼 저녁 식사 요금으로 값을 치러야한다.


빕스를 찾았던 이명주(26)씨는 "물론 3시간이면 밥 먹고 실컷 친구들과 이야기도 나누고 여유있게 식사할 수는 있다"면서 "그래도 무제한 이용인 곳에서 내가 원하는 시간에 일찍 나가는 것과 시간제한 때문에 서둘러 나가야하는 것은 차원이 다르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 식사시간은 한 시간 정도이고 나머지는 디저트나 커피를 먹는 시간이기 때문에 업계 입장에서도 시간을 넉넉하게 잡아도 단가에 큰 타격은 안 미칠 것"이라며 "고객 회전율을 위해 시간제한을 두는 건 이해하지만 고객 입장에서 쫓겨나가는 기분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고 덧붙였다.


지난 주말 명동 애슐리에서 식사를 한 직장인 최기영(32)씨는 다음날까지 체해서 고생해야 했다. 사람들이 오가는 길목에 자리잡은 그는 꾸역꾸역 밀려들어 대기하는 손님들 눈치에, 2시간 시간 제한이 있다는 점원 말에 급하게 먹다가 탈이 난 것. 그는 "많이 먹지도 않았는데 빨리 먹고 나가야겠다는 압박감 때문인지 체했다"면서 "제 돈 내고도 눈치 보이는 뷔페식 레스토랑은 다시는 가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애슐리 관계자는 "현재 전체 매장 105개 중 강남, 명동점 등 고객이 몰려드는 3~4곳에서만 2시간 식사제한을 두고 있다"면서 "원래 전 매장에서 전면실시하려고 구상했지만 고객들 항의가 많을 것 같아 부분적으로만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스터피자가 운영하는 이탈리안 뷔페식 레스토랑 제시카키친도 식사시간이 2시간으로 제한돼있다. 조혜진(27)씨는 얼마 전 신도림에 있는 제시카키친 디큐브점에서 식사를 하다가 1시간 40분 만에 직원이 '퇴점할 시간이 다 되어가고 있다'는 채근을 받아야했다. 조씨는 "일행이 30분 정도 늦게 와서 식사를 늦게 시작했는데 결국 한 시간밖에 이용하지 못하고 나왔다"면서 "디너 가격 2만4500원이었는데 그만한 대접을 받지 못했다"고 불쾌함을 토로했다.


그나마 식사 제한시간이 2~3시간인 곳은 양반이다. 일부 뷔페식 회전초밥집들은 40분~1시간으로 한정돼있어 급하게 먹다가 탈나기 십상이다.


업계 관계자는 "식사 제한시간이 일부 고객들에게는 불편하다고 느낄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향상된 품질과 서비스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