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50돌 자산관리공사 ‘제2의 도약’ 선언
우리 인체의 혈액순환 과정에서 노폐물이 생기듯 경제순환 과정에서 부실채권이 발생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다. 신장이 인체의 노폐물을 정화해 주는 것처럼, 우리경제에서 발생하는 부실채권을 효율적으로 정리해 경제가 선순환 할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 바로 한국자산관리공사다.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은 한국자산관리공사(KAM CO, 이하 캠코)가 이제 국가 자산 종합관리기관으로서 100년 기업을 향해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장영철 캠코 사장은 지난 6일 창립 50주년 기념사를 통해 “지난 50년간 국가경제의 위기상황을 수습하는 것이 한국자산관리공사의 책무였지만 앞으로 100년은 금융-기업-가계-공공 등 4대 부문에 걸쳐 있는 캠코의 다양한 역할을 융합해 시너지를 창출해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금융위기·카드대란·가계부실 해결사 한 몫
캠코는 국가적 위기 때마다 위기 극복의 ‘구원투수’ 역할을 해왔다. 지난 1997년 외환위기 당시 공적자금으로 조성된 39조2000억원의 부실채권정리기금을 투입해 111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양의 금융기관 부실채권을 성공적으로 인수-정리함으로써 경제위기 상황을 조기에 극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효율적이고 선진적인 부실채권 정리를 통해 투입된 공적자금을 모두 회수하고 투입금액 대비 116%를 넘어선 45조7000억원을 회수했다. 이는 다른 선진국들의 공적자금 회수율이 50∼60%에 그치는 점을 감안하면 세계적으로 유례기 놀라운 성과가 아닐수 없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역시 ‘제2의 부실채권정리기금’으로 불리는 구조조정기금을 설치, 운용해 금융시장의 뇌관으로 부상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등 9조7000억원을 인수하는 등 위기에 선제 대응해왔다. 유동성 위기에 처한 해운사의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해 선박펀드를 조성해 총 33척의 선박을 매입하기도 했다.
캠코는 인수한 부실채권을 채권 유형별 특성에 따라 경매-공매를 통한 개별 회수는 물론 국제입찰, ABS발행 및 M&A 등을 통해 효율적으로 정리해왔다. 외환위기 당시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용회복지원 프로그램을 도입, 운영한 곳이 바로 캠코다.
2003년 카드대란 때에는 배드뱅크인 ‘한마음금융’과 ‘희망모아’를 설립해 당시 400만명에 달하는 금융채무불이행자 문제를 해소하는데 공을 세우기도 했다. 개인신용회복 지원 분야에서 국내 어느 기관보다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겸비하고 있다고 자부하는 이유다. 실제로 1997년 이후 지금까지 캠코가 지원한 금융소외자, 저신용, 서민층을 모두 합치면 총 146만명, 금액으로는 13조5000억원에 이른다.
장영철 사장은 “소득 양극화가 진행될수록 가장 먼저 타격을 받게 될 금융 소외계층이 최하위 빈곤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사회·경제 안전판으로서 서민금융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 사장이 취입 직후부터 15개 광역자치단체들과 릴레이로 서민금융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잠자는 국유지도 부가가치의 근원으로 깨운다
캠코는 전국 62만 필지의 국유지 중 72.5%인 45만 필지를 관리하고 있는 국내 최대 국유재산관리기관이다. 지난 1997년부터 정부로부터 위탁받아 국유지 관리를 시작한 이래 효율적인 매각-대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과학적 관리로 최근 3개년간 연평균 7000억원의 수익을 올리면서 재정수입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국유지 개발 분야에 있어서도 캠코의 활약은 단연 돋보인다. 2008년 명동의 80년된 2층짜리 남대문 세무서를 15층짜리 에너지절약형 민관복합빌딩으로 변모시킨 ‘나라키움 저동빌딩’으로 개발한 이후 총 9건의 개발사업을 통해 국유재산의 가치를 775억원에서 2279억원으로 3배 가까이 늘렸고, 연간 임대수익도 2억3000억원에서 61억4000억원으로 26배나 증가시켰다.
캠코는 그간 입증된 국-공유재산 관리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유재산관리기금‘ 위탁관리를 준비 중이며, 기금을 재원으로 활용해 공무원 유료통합관사 개발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현재 정부정책으로 추진되고 있는 세종시 이전사업의 성공적인 완수를 위해 현재 12개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임차 청사 마련을 위한 위탁개발 사업도 추진 중이다.
장영철 사장은 “캠코의 공공부동산 위탁개발 사업방식은 국민세금을 들이지 않고도 공공시설을 짓고 임대수입 창출을 통해 예산도 절감하는 1석2조의 효과가 있어 정부 및 지자체의 개발 요청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캠코의 우수한 인력과 선진화된 IT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공공부문의 자산가치 증대에 기여하겠다”고 설명했다.
미니인터뷰 | 장영철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국가경제 안전판… 신뢰받는 금융공기업 될 것”
“캠코를 국가자산과 공공부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국가경제의 IB’로 발전시켜 나가겠습니다.” 장영철 캠코 사장은 지난 6일 캠코 창립 50주년 기념사에서 이같은 포부를 밝혔다. 다음은 장 사장과의 일문일답.
앞으로 캠코는 어떤 기업으로 변화하게 되나?
지난 반세기동안 캠코가 국가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수행해왔다면, 올해는 미래 50년을 준비하는 기점으로 삼아 국민에게 신뢰받는 금융공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한다. 그 첫 걸음으로 명실상부한 ‘국가자산 종합관리기관’이 되도록 노력해 나가겠다.
지난 2010년 11월 취임 이후 주요 성과와 소감은?
지난 공직생활 30년간 국가미래발전과 공기업개혁 등 정책 개발에 노력해 왔는데, 이제는 실전에 투입돼 국가경제 안전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이바지한 시간들이었다. 일반적인 공기업이 조직 안정을 추구하는 것과 달리 캠코는 새로운 업무영역에 도전하는 벤처정신과 조직혁신에 대한 열의가 매우 강하다.
부실채권정리부터 신용회복지원, 정부위탁업무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면서 조직 자체적으로 상당 수준의 전문성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위기 때마다 내재된 기능을 진화시켜 국가경제 기여도를 키우는 캠코의 역할에서 사명감과 자부심을 느낀다.
올해 캠코가 가장 주력하는 사업은?
캠코는 민간 투자자가 수익성-위험성 등을 이유로 인수를 꺼려하는 기업부실자산, 특히 공공부문의 부실채권을 적극적으로 인수-정리할 계획이다. 2012년도에는 금융권 부실채권이 법인채권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향후 기업구조조정 본격화와 부동산경기 부진 및 금융시장 상황 등에 따라 부실 확대 가능성이 상존한다. 따라서 저축은행 등 금융회사의 상시적인 구조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1조2868억원을 투입해 총 2조5000억원의 부실채권을 인수할 계획이다.
특히, NPL 및 구조조정자산에 대한 캠코의 투자계획이 매입액 기준으로 1조3868억원 정도로 예상되나, 투자한도를 계획대비 130%인 1조8028억으로 설정해 필요시 적극적인 구조조정업무 대응 태세를 마련했다.
또한 경기회복 지연과 양극화로 고통받고 있는 저소득-금융소외 계층의 신용회복과 경제적 자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감사원 국민편익 모범사례로 선정된 바 있는 캠코의 ‘바꿔드림론’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도를 지속적으로 보완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자체와 연계한 취약계층 자활지원사업도 적극 추진키로 했다. 특히 올해부터 캠코가 맡아 운영하게 된 국유재산관리기금에 캠코의 우수인력과 선진화된 IT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공공부문의 자산가치 증대에도 기여할 생각이다.
이코노믹 리뷰 한상오 기자 hanso11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