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충무로에서] "한국사람 그대로 해주세요"

시계아이콘01분 40초 소요

[충무로에서] "한국사람 그대로 해주세요" 조미나 세계경영연구원(IGM) 상무
AD

"중국인으로 등장인물을 바꿔야겠지요?" "아닙니다. 한국 사람 그대로 하고 중국어 자막으로 처리해 주세요." "그럼, 서양 사람은 어때요?" "나쁘지는 않지만, 그냥 한국 사람으로 해 주세요."


드라마나 영화 캐스팅, 한류 스타 얘기가 아니다. 경영학을 가르치는 교수들 얘기다. 필자가 근무하는 연구소에서 만든 온라인 경영 강의를 중국에서 방영하려고 논의하는 중에 나온 중국 기업 측의 요구다. 말인즉슨 한국 사람이 한국어로 했을 때 시청자로부터 더 큰 신뢰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에서 한류 열풍이 대단하다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백화점이나 면세점의 큰손이 일본인에서 중국인으로 바뀌었고, 제주도 등 주요 관광지에서 중국인을 만나는 것도 흔한 풍경이다. 그런데 이제는 지식도 '한국제'가 우월하다는 것이다. 세계의 중심이 자신들이라는 중화사상이 강한 중국에서 한국의 위상이 이 정도다.


한국의 위상은 기업이 가장 먼저 느낀다. 원래 수출을 하려면 현지화가 기본이다. 그 나라의 문화나 분위기에 맞춰야 잘 팔리기 때문이다. 특히 기업의 친정 국가가 위상이 낮은 경우 국적을 가리기 위한 노력이 많았다. 디지털 세트톱박스 전문업체인 휴맥스가 90년대 중반 유럽 시장에 처음 진출했을 때만 해도 그랬다. 그들이 아일랜드 현지에 공장을 지은 이유 중 하나도 'Made in England'를 찍기 위해서였다. 십여년 전만 해도 미국인은 삼성 TV를 사면서도 삼성이 어느 나라 회사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일부러 한국을 강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삼성이 미국 회사라고 아는 사람도 많았다고 하니 지금 들어도 서글픈 얘기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바뀌었다. 밀폐용기 전문회사인 락앤락은 현지에 공장이 있음에도 중국 내수용은 한국에서 만들어 수출한다. 'Made in Korea'를 위해서다. 상하이에서 락앤락 브랜드는 샤넬에 버금갈 정도의 인지도를 자랑한다. 한국 패션회사인 EXR이 중국에서 나이키를 제치고 1등 브랜드가 된 것도 마찬가지다. 처음부터 한국 디자인과 한국 원단으로 만들었다는 것을 소비자에게 어필했던 것. 화장품 전문 제조기업인 한국콜마도 중국 브랜드와 손잡을 때 한국 여성이 쓰는 화장품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많은 중국 젊은이들이 한국인처럼 꾸미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제품만이 아니다. 세계의 대통령이라는 유엔(UN) 사무총장이 한국인이다. 세계은행 총재도 한국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 예술계 또는 스포츠계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한국인은 수없이 많다. 데이비드 김, 리처드 리처럼 서양식 이름을 가진 한국인이 아니라 발음조차 어려운 토종 한국 이름을 쓰는 그들이다. 이처럼 인력부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까지 한꺼번에 세계 시장에서 주목 받는 나라는 흔치 않다. 바야흐로 한국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유엔 초기 회원국 77개국 중 경제순위 75위였던 나라, 다른 나라의 도움 없이는 전쟁에서도 경제적으로도 홀로 설 수 없었던 나라, 전 세계 최빈국이었던 나라가 반세기 만에 이룬 위상이다.


이제는 자신감을 가져도 될 듯하다. 겸손하기만 한 것이 미덕인 시대도 지났다. 자기 PR, 자기 홍보의 시대다. 지금은 소비재와 문화가 한류의 주역이지만 본격적인 소프트파워는 지식에서 나온다. 한국의 학문, 지식을 전파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외국으로 유학 간 한국인이 많았다면 이제는 한국에 유학 오는 외국인을 늘려야 한다. 세계인이 한국의 지식을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국으로 불러오는 데 한계가 있다면 한국의 지식이 세계로 나가면 된다. 대학과 학원, 교육회사들이 세계로 눈을 돌려야 하는 이유다. 이제 한국의 지식 산업이 선두에 설 차례다.




조미나 세계경영연구원(IGM) 상무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