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천안함 폭침 2주년 변한 것과 변해야 할 전력

시계아이콘02분 1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천안함 폭침 2주년 변한 것과 변해야 할 전력
AD


천안함 폭침 2주년 변한 것과 변해야 할 전력

천안함 폭침 2주년 변한 것과 변해야 할 전력


천안함 폭침 2주년 변한 것과 변해야 할 전력

천안함 폭침 2주년 변한 것과 변해야 할 전력


천안함 폭침 2주년 변한 것과 변해야 할 전력


천안함 폭침 2주년 변한 것과 변해야 할 전력


천안함 폭침 2주년 변한 것과 변해야 할 전력


천안함 폭침 2주년 변한 것과 변해야 할 전력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오는 26일은 천안함 폭침 2주년이다. 이 날은 또 '핵안보정상회의'가 열리는 날로 세계 53개국 정상들이 한국에 모인다. 정상들의 참석규모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의 두 배가 넘는다. 2년전 북한이 사상 초유의 도발을 감행한 날에 국제적인 행사가 열리는 만큼 우리 해군의 대북 연안방어가 완벽해야하는 것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해군은 올해 대양해군용어를 다시 부활시켰다. 해군으로선 연안 방어와 대양해군 건설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셈이다. 하지만 연안방어에 한동안 치중하다보니 대양해군에는 아직 역부족이라는 것이 군전문가들의 평가다. 천안함 폭침 2주년을 맞아 우리 해군은 연안방어을 위해 얼마나 준비를 해왔고 대양해군을 위해 얼마나 준비를 해야 하는지 짚어본다.


▲천안함 2주년 무엇이 달라졌나? =연안 방어 전력이 확 개선됐다. 해군은 천안함 폭침당시 '자국 연안도 못지키면서 대양해군을 꿈꾼다'라는 질타를 받았다. 이 때문에 한동안 대양해군이란 용어를 잠시 접고 서해상 전력을 대폭 강화했다.


해군이 가장 신경 쓴 것은 한미공조다. 이를 위해 해군작전사령부와 미 7함대간 해군작전협조단이 창설했다. 한미작전을 위해 연합지휘통제체계(CENTRIXS-M)를 구축함 등 12척에 설치하고 적 잠수함 활동정보제공을 확대했다. 해군작전협조반은 정보, 작전, 군수지원을 위해 한국측 40명, 미국측 32명 등이 구성된다.


미 7함대는 8000~9000t급 순양함(카우펜스, 샤일로 등)과 7000~8000t급 이지스 구축함(존 메케인), 4000~1만5000t급 상륙지원함, 7000~1만t급 핵잠수함(휴스턴, 버팔로)등으로 구성됐다. 7함대 소속의 일부 잠수함은 1600㎞의 원거리 타격용인 토마호크(순항) 미사일 150여기를 탑재하기도 한다.


연안방어를 위해서는 차기호위함(FFX.2300t급)은 2012년 이후 20여척을, 고속정을 대체하는 차기고속정(PKX)은 2016년까지 10여척이 확보한다. 차기 호위함은 현재 해군에서 운용하는 호위함(FF)과 초계함(PCC)을 대체하는 전력이다. 기존 함정에 비해 대함, 대공, 대잠전 수행능력을 대폭 향상시킨 것은 물론 한편, 어뢰음향대항체계와 헬기 및 국내개발중인 선체고정형 음탐기를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해상 최일선에서 전진배치된 고속정의 전력도 보강됐다. 고속정 55척에 전자 해상지도와 자동추적기능이 추가된 레이더를 장착하고 전방해역에 출동하는 고속정 10척에는 휴대용대공유도탄이 미스트랄을 탑재했다. 또 지난 6월 개발된 신형 유도탄기만탄과 76mm함포 철갑고폭탄도 장착된다.


해군이 고속정에 미스트랄을 탑재운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속정에는 40㎜ 함포가 장착되어 있지만 고속으로 전진하는 공기부양정을 격파하는 데는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었다. 1991년부터 도입한 미스트랄은 15m~4.5㎞의 고도로 최대 6㎞ 거리의 목표물을 격파할 수 있으며 마하 2.6 속도로 비행한다. 북한은 지난 2002년 제2연평해전 때부터 경비함에 지상군 무기인 RPG-7 대전차 로켓과 AT-4/5/6 대전차 유도탄을 장착해 운용하고 있다.


대공방어 및 대잠수함작전 수행이 가능한 차기구축함(KDX-ⅡA.5600t급)은 2019년 이후 10여척가량을 확보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3,100t급 KDX-Ⅰ이 3척 운용중이며, 4,500t급 KDX-Ⅱ는 6척 운용중이다.


고속정에 탑승하는 인원도 강화됐다. 레이더를 관측하는 전탐병을 제외하고 전탐하사를, 의무병 대신 의무하사를 배치하기로 했다. 또 북한 잠수함(정)의 예상 항로를 담은 '잠수함지도'가 제작해적도발유형을 31개 구분하고 이에 맞는 종결작전 태세를 갖추었다.


▲무엇이 달라져야 하나?= 한마디로 말해서 대양해군을 겨냥한 전력이 크게 개선돼야 한다. 해안방어를 위한 전력구축은 이뤄지고 있지만 현재 한국의 해상전력은 주변국의 군사력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대양해군으로는 아직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가장 시급한 전력은 수상전력분야다. 연안방어를 위한 고속정부터 이지스급 구축함에 이르까지 적절한 무기체계 탑재가 필요하며 합동성 강화를 위해서는 대지공격력, 대공방어능력 등을 강화해야한다.


특히 최신 대형함정을 더 보충해야한다. 해적퇴치 등 원양작전이 가능한 KDX-Ⅱ 6척 중 1척은 아덴만 해역에서 작전 중이다. 아덴만 해역에 1척을 투입하려면 기본적으로 KDX-Ⅱ 3척이 움직인다. 해적퇴치 임무교대와 해상대기, 정비 등을 위해 3척이 한 세트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나머지 3척으로 NLL 경비작전 지원 임무를 수행해야 하지만 정비와 국제 군사외교활동 등에 투입되기 일쑤여서 사실상 KDX-Ⅱ 1척만이 지원 임무에 투입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해군 일각에서는 대형함정을 건조한다고 해도 배를 탈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4만1000여명의 해군 병력 중 병사는 2만1000여명, 부사관 이상 간부는 2만여명이다. 육상에서 지원 근무하는 병사와 간부를 제외하면 배를 탈 수 있는 인력은 빠듯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무인항공기를 탑재해 감시, 정찰, 폭격 등의 임무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또 무인항공기 항공모함도 검토해야 한다.


수중전력분야는 '정보.감시.정찰(ISR)' 체계는 물론 제2의 억제력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중정밀타격 전력 등이 필요하다. 또 비정규전 전투력도 보강할 필요가 있다. 해병부대의 강화로 기습상륙타격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보강하는 것은 물론 비정규전에 대비태세를 갖출 수도 있다.


전력과 전술도 중요하지만 해군에게 더 중요한 것은 해군 전진기지 건설이다. 올해 예산 삭감으로 진통을 겪고 있는 제주기지와 독도를 근거리에서 지원하게 될 울릉도기지 사업을 조기에 완공해 주변 해양주권과 교통로를 확보해야 한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