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를 시청하다다 보면 위로해주고 싶은 인물이 생기더군요. 헤어 나오기 어려운 모진 역경 때문이 아니라 애당초 이루어지지 않을 사랑으로 정해진 채 출발하는, 희망이 없는 캐릭터이기 때문인데요. 예를 들면 평생을 초지일관 연우(한가인)만 바라보다 죽지 싶은 MBC <해를 품은 달>의 양명(정일우)이 이에 해당하죠. 그러나 정의로운 그는 시시때때로 닥치는 온갖 유혹들에도 불구하고 혈육이자 주상인 훤(김수현)에 대한 의리와 충성만큼은 우직하니 지켜내고 있죠. 그래서 초절정 매력남의 사랑을 감히 방해하는 입장임에도 미움을 사기는커녕 오히려 사랑을 받는 걸 거예요. 반면 짝사랑만으로도 억울할 판에 악역이기까지 해서 더 안타까운 경우가 있으니 바로 중전 보경(김민서)이 같은 인물이에요. 어릴 적부터 애가 좀 밉상이었나요. 하지만 야심에 불타는 아버지(김응수)의 희생양이라는 정황이 인정 돼 어느새 동정 어린 시선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MBC <신들의 만찬>의 하인주(서현진) 씨는 어느 누구보다 가혹한 운명의 캐릭터이지 싶어요. 사랑에도 일에도 실패하도록 정해져 있는데다가 그것도 모자라 시청자의 동정조차 얻기 어려운 악역이니까요.
악역이 지고 갈 운명은 무겁기만 합니다
악역이 가는 길은 끝이 없는 가시밭입니다. 어떻게든 주인공을 이겨보겠다고 아등바등 애를 써보지만 과욕이 화를 부르고 결국엔 자기가 파놓은 함정에 스스로 빠져 몰락하고 말아요. 무엇보다 받아들이기 어려운 건 아무리 노력을 해봤자 원하는 걸 결코 얻을 수 없다는 점이 아닐까요? 인주 씨가 고준영(성유리)이 흘린 목걸이를 손에 쥔 채 “내꺼야, 절대 안 뺏겨”라고 다짐했지만 어쩌죠? 아리랑의 차기 명장 자리가 이미 물 건너 간 건 물론 벌써 오래전부터 남자 친구인 최재하(주상욱)의 마음은 준영을 향하고 있는 걸요. 또 인정받고자, 사랑 받고자 일평생 노력해온 부모님은 어쩌고요. 어릴 시절 어머니에게 혼나고 놀이터에서 혼자 있을 때 “인주야, 인주야”하고 부르며 찾아다니는 소리가 어찌나 따뜻하게 들리던지 한참을 더 숨어 있었다는 인주 씨가 아닙니까.
하인주 씨, 아니 실은 송연우지요? 운명의 단추가 악역 쪽으로 끼워진 건 순전히 성도희(전인화)의 남편 하영범(정동환)의 탓입니다. 인주 씨가 내내 아버지라고 불러온 그 사람 말이에요. 인주 씨에게서 송연우라는 이름을 앗아버린 게 바로 하영범(정동환)이잖아요. 남편의 불륜 사실에 충격을 받아 손목을 그어 자살 기도를 했던 성도희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사랑하는 딸 인주까지 잃어버리자 그만 넋이 나가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납득하기 어려운 상황이긴 하나 딸에게 걸어줬던 목걸이를 목에 걸고 있는 연우를 보고 딸로 착각을 하게 되는데요.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하영범은 다섯 살짜리 어린 애에게 결코 해서는 아니 될 제안을 했죠. “이 목걸이 주은 거 아니야. 처음부터 네 꺼야. 이 방, 침대, 장난감 전부. 앞으로 네가 원하는 것 다 해줄 거야. 이제부터 너는 송연우가 아니라 하인주니까.” 그래서 송연우가 아닌 하인주로 살게 된 인주 씨는 거짓된 삶을 스스로 선택했다는 죄책감에 사로잡혀 살 수밖에 없었죠. 커서는 아버지 방에서 여자 아이용 팔찌를 발견하고 무심히 껴봤다가 네 것이 아니니 당장 빼라는 수모를 당하기도 했잖아요.
연우 씨, 내 것이 아닌 이름을 버리고 다시 시작하세요
그러나 인주 씨는 잊고 있는 게 아니었습니다. 일탈을 위해 들렀던 클럽에서 김도윤(이상우)에게 도움을 받던 날 똑똑히 자신의 이름을 말했잖아요. “내 이름은 송연우, 꼭 기억해. 대한민국 서울에 송연우라는 스물일곱 살짜리 여자애가 살고 있다. 송연우, 송연우.......” 스무 해가 넘도록 하인주로 불리어 온 인주 씨가 송연우라는 이름을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진짜가 아니라는 사실이 들통날까봐 전전긍긍하며 살아온 인주 씨, 남의 삶을 자신의 삶인 양 살아온 인주 씨는 도대체 언제 자신의 이름을 되찾게 되는 걸까요? 노력 없이 감나무 아래서 감 떨어지길 기다리듯 살아왔다면 또 모르지만 누구보다 실력을 갈고 닦아온 인주 씨라서 더 안쓰럽습니다. 얼마 전에도 준영이가 청국장으로 재탄생시킨 신개념 요리가 외국 손님들의 입맛을 사로잡자 이내 착잡한 표정을 지었죠. 이제 얼마나 많이, 자주 그 표정과 눈빛을 보게 될지 걱정스럽네요. 더 딱한 건 오래전 다섯 살 때 하영범에게 이용을 당했던 것처럼 또 다시 성도희의 숙적 백설희의 꼭두각시 노릇을 하게 되었다는 점이에요. 어렵겠지만 하인주라는 허울을 하루라도 빨리 내던질 수 있는 용기를 갖게 되길 바랍니다. 어쩌면 요리사의 길이 내 길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사실 또한 잊지 말았으면 해요. 요리사의 길 역시 내 것이 아닌 허울일 수도 있으니까요.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0 아시아 글. 정석희 (칼럼니스트)
10 아시아 편집. 이지혜 seve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