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저축은행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저축은행중앙회의 존재감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저축은행과 관련된 사소한 정보에도 예금 고객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금융당국과 각 저축은행이 적극적이고 공개적인 소통을 꺼리고 있는 탓이다.
4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적기시정조치 유예 및 경영개선요구를 받은 6개 저축은행에 대한 영업정지 여부가 이르면 이달 내에 발표될 예정이다. 지난해와 같은 대규모 영업정지는 없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번 발표에 따라 잠잠해졌던 저축은행 사태가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는 해소되지 않는 모습이다.
이 과정에서 저축은행중앙회의 입장은 그야말로 '애매한' 상황이다. 그간 저축은행들과 금융당국의 사이에서 가교역할을 해 왔지만, 이들을 비롯한 이해당사자들이 정보에 극도로 예민해지면서 소통 창구로서의 기능은 크게 희석됐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그간 중앙회는 저축은행 영업에 대한 금융당국의 권고 및 지침을 회원사들에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면서 "다만 최근 문제발생이 가능한 일부 저축은행에 대한 정보 공유 등은 잘 안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그간 지급준비 예탁금을 수입·운용하는 중앙은행으로써의 기능 뿐 아니라 제도개선이 회원사들의 건전경영에 대한 지도 역할도 맡아 왔다. 저축은행 사태가 확산됐던 지난해 4월에는 신뢰 회복을 위한 자정결의 실천강령을 세우고 '자율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외형확대를 자제하고 지배구조를 재편해야한다는 구체적인 내용도 공언했다. 그러나 지난해 16개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하고 5개 저축은행이 적기시정조치 유예를, 1개 저축은행이 경영개선요구를 받은 극약처방이 내려지면서 보폭을 최소한으로 좁힌 상태다.
금융당국 역시 중앙회와의 교감이 줄어든 가장 큰 이유는 저축은행들이 경영정상화라는 민감한 과정중에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중앙회가 관리자로서 역할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최근 저축은행들이 경영정상화 과정에 있어 검사결과를 외부에 공개하지 못하고 있는 영향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김현정 기자 alphag@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현정 기자 alphag@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