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래 어업의 키워드는 '지속가능성'에 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40년 전부터 '지속가능 어업' 준비해 온 노르웨이 해양수산부 수석 고문 인터뷰

"미래 어업의 키워드는 '지속가능성'에 있다" 노르웨이 해양수산부의 엘리자베스 가브리엘슨 수석 고문이 21일 노르웨이 오슬로 해양수산부 사무실에서 '지속가능 어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는 "앞으로 어업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지속가능성'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AD


[오슬로(노르웨이)=아시아경제 성정은 기자]"앞으로 어업에서 가장 중요한 건 '지속가능성'입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수산물 수출국(금액 기준)이자 하루에 전 세계적으로 3700만 끼니에 달하는 해산물 요리를 공급하는 노르웨이. 이곳의 해양수산부(Norwegian Ministry of Fisheries and Coastal Affairs) 관계자, 엘리자베스 가브리엘슨 수석 고문이 던진 말이다.


지난 21일 노르웨이 오슬로에 있는 해양수산부를 찾아 바다 자원 및 해안 관리 부서 수석 고문 등 에게 '지속가능 어업'에 관한 얘기를 들어봤다. 엘리자베스 수석 고문은 이날 '지속가능 어업'을 강조하며 "노르웨이가 수산물 대국이 될 수 있었던 이유도 바로 '지속가능 어업'을 위해 수십년 동안 노력해왔다는 데 있다"고 말했다.

노르웨이가 처음부터 '지속가능 어업'을 준비해왔던 건 아니다. 다른 나라들처럼 수산물을 상품으로만 보고 상업적인 접근을 했던 때도 있었다. 40여년 전만 해도 어획량에 대한 규제 등은 전혀 없었다. 그러다보니 수산물 재고는 점점 줄어들었고 어부들의 상황도 덩달아 나빠졌다.


노르웨이 당국이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해선 오히려 규제가 필요하다는 걸 깨달은 건 바로 이 때였다. 노르웨이 해양수산부는 농림부, 식품안전청(Norwegian Food Safety Authority) 등을 비롯한 관련 부처 및 기관과 협업을 하는 데 주력했다. 나아가선 생태계를 연구하는 과학자들과 어부들을 직접 불러 논의를 하면서 어종별, 선박별 어획량을 정하기도 했다.


그렇게 나온 게 '지속가능 어업'의 가장 큰 발판이 되는 '쿼터제(quota regulation)'다. 노르웨이 해양수산부는 자국의 배들이 잡을 수 있는 총 어획량을 먼저 정한 뒤 이를 배의 크기나 종류 등에 따라 나누는 식으로 어획량을 통제하고 있다.


총 어획량은 매년 환경 요소, 시장 요소 등 다양한 변수 등을 고려해 그 범위를 새롭게 정할 수 있다. 정해진 어획량을 어기게 되면 최악의 경우엔 어업 면허를 뺏기거나 감옥에 갈 수도 있다. 벌금을 무는 것은 당연하다.


엘리자베스 수석 고문은 "어획량을 규제한 뒤 오히려 어부들의 수입이 평균 수준 이상으로 늘어났다"며 "이 외에 대구의 경우 그 양이 굉장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러시아와 함께 어획량을 정해놓았더니 지금은 대구가 그 어느 때보다 많아진 좋은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수산물을 '상품'이 아닌 '자원'으로 보고 어획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는 데엔 주변 나라들도 동의를 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웃 나라들이 어획량 규제에 대해 공감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관련 부처 및 기관들이 한 가지 목표를 공유하고 있는 만큼 현재진행형인 지속가능 어업이 언젠간 결실을 맺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엘리자베스 수석 고문과 자리를 함께 한 헨릭 앤더슨 노르웨이 수산물 수출 위원회 한국ㆍ일본 담당 이사의 생각도 엘리자베스 수석 고문과 같은 곳에 머물렀다. 그는 "전 세계 수산물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 수요에 맞춰 고기를 잡는 것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며 "어획량 규제나 양식 등과 같은 '지속가능 어업'의 구체적 방안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가 왔다"고 강조했다.




오슬로(노르웨이)=성정은 기자 je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