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최강 전투기 'F-35' 이리 사기 힘들 줄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8초

"F-35,비판론과 예산삭감속에서도 일보전진"(로이터)

[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너무 많은 것을 요구받아 아무 것도 못할 항공기다” VS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미국의 전투방식을 혁신할 아이패드 시대에 알맞는 전투 기반이다”


로이터통신이 25일(현지시간) ‘F-35 합동공격기(JSF)가 비판과 예산위기 속에서도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소개한 논란의 핵심 내용이다.

"최강 전투기 'F-35' 이리 사기 힘들 줄은…" 미 해병대용 F-35B 해상 함상 수직착륙 모습 (사진=디펜스뉴스)
AD



로이터는 16t짜리 해병대용 F-35기가 대서양에서 상륙함정 갑판위에 맴돌다가 가볍게 착륙한 소식을 전하고, 테스트 파일럿(시험조종사)인 매트 켈리 중령의 말을 인용해 “파일럿이 비행하고 싶어하는 항공기”리고 덧붙였다.

록히드마틴사의 F-35의 수석 테스트 파일럿인 조종사 앨런 노먼은 “이 항공기는 미국과 동맹군에게 앞으로 수년,수십년 동안 굉장한 능력을 제공할 것”이라면서“이 항공기는 조종사가 상공에서 하고자 하는 것을 생각하고 지시해주는 능력에서 장족의 발전을 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은 그러나 이 항공기는 우선 예산삭감에서 살아남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재정적자 감축을 위한 양원 합동특별위원회인 수퍼커미티가 재정지출 삭감안에 합의하지 못함에 따라 미 국방부는 이미 시행중인 4500억 달러의 지출삭감외에 2013년 동안 향후 10년 동안 6500억 달러를 자동으로 삭감해야 한다.


로이터통신은 3820억 달러 규모로 국방부의 가장 값비싼 무기 프로그램인 F-35는 비용절감을 위한 논리적인 선택이라고 지적했다.


로이터는 미 상륙함정 와스프함에서 이착륙 시험을 보인 해병대용 F-35는 취소위기에 처했다면서 공군도 비용절감 차원에서 구매대수를 줄여만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개발사인 록히드 관계자들은 미국이 현재 계획대 2447대도 모두 다 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비공식으로는 인정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좌파 성향의 싱크탱크인 NPP(National Priorities Project)의 크리스 헬먼 조사국장은 “예산 절감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에 F-35는 적자감축을 위한 주요 표적"이라고 말했다.


F-35는 단거리이륙과 수직착륙기인 해리어 AV-8을 대체하기 위해 시작됐다. 일부 군은 근접 항공지원,공대공 전투 기능을 갖춰 노후화하는 여러 항공기를 하나의 제트기로 대체하고 싶어했고 미 의회는 1990년대 중반 이 사업을 하나로 통합했다.


이어 록히드 마틴은 보잉을 제치고 2001년 10월26일 항공기개발을 위한 180억 달러 규모의 초도계약을 따냈다.


‘적정비용’은 핵심 목표였다. F-35가 F-16과 AV-8, F/A-18과 A-10을 대체하면 많은 공급사슬이 제거될 수 있으며, 3개 항공기에 공용부품을 사용하면 3군을 위한 단일 유지공급체계를 갖출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비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게다가 많은 파트너를 참여시켜 합동작전능력과 비용절감도 꾀했다. 8개국이 참여했고 다수는 항공기를 구매해 실전배치하기로 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상의 도전에 직면했다. 개발은 장기화하고,비용은 상승했으며,총구매대수는 축소됐다.


F-35비판론자인 국방정보센터의 윈슬로우 휠러 애널리스트는 “본래 이 항공기는 단거리 이착륙기로 구상됐지만 여기에 ‘스텔스’ 성능를 추가됐다”면서 “이러고서도 이 항공기 비용을 적정수준이 되도록 하는 것은 환상”이라고 비판했다.


미 연방회계감사원(GAO)에 따르면 당초 2866대의 F-35기 개발과 구매 추정비용은 2310억 달러였다. 미군은 이 항공기가 2010년과 2012년 사이에 비행을 시작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7년이 지난 지금 GAO는 2447대의 비용이 3820억 달러로 64%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당 가격도 말이 많다. 록히드마틴은 F-35가 완전 생산에 들어갈 경우 가격은 6500만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GAO는 현재 소량만 생산되고 있다며 올해초 대당 가격을 1억3300만 달러로 추정했다.


이 항공기는 2015년에 가서야 배치되며, 생산과 30여년의 사용기간 동안의 유지비용은 지난 2005년 5890억 달러에서 현재 1조 달러 가량으로 불어났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박희준 기자 jacklondo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