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달게 먹는 남성, 대사증후군 위험 높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달게 먹는 식습관을 가진 남성이 여성보다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사증후군이란 비만, 고혈압, 당 대사장애, 고 중성지방혈증, 저 HDL콜레스테롤혈증 등 5가지 요소 중 3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대사증후군이 있으면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 발생 위험이 높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국내 성인 1만7000여명을 대상으로 6~12년간 설탕, 잼류 등의 첨가당 섭취 정도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추적 조사한 결과,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첨가당은 유당, 과당 등 식품 자체에 존재하는 당이 아니라 식품을 제조하거나 조리할 때 첨가되는 설탕, 꿀, 물엿 등을 뜻한다.

식약청에 따르면 하루 평균 첨가당 섭취량은 1998년 131.g에서 2008년 17.8g으로 36% 늘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하루 섭취하는 평균 첨가당(17.6g)이 여성(11.8g)보다 많았다.


조사대상자 가운데 대사증후군이 발생한 사람은 1896명으로 전체의 13.7%를 차지했다. 이를 우리나라 인구 1000명당 1년간 발생 수로 환산하면 남성 39.1명, 여성 26.9명에 해당한다.


특히 남성의 경우 첨가당을 매일 22g이상 섭취하는 그룹이 적게 섭취하는 그룹(하루 8g이하)보다 비만 위험이 28% 높고, 고 중성지방혈증 위험 22%, 저 HDL콜레스테롤혈증 위험은 35% 가량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22g의 첨가당은 일반적으로 콜라, 사이다 등의 탄산음료 캔 하나만으로도 충족될 수 있는 수준이다.


반면 여성은 첨가당을 어느 정도 먹느냐와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 정도에 의미있는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여성호르몬이 LDL(나쁜)콜레스테롤을 낮추고 HDL(좋은)콜레스테롤을 늘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식약청은 설명했다.


식약청은 "총 열량과 상관없이 첨가당 섭취가 많아질수록 비만위험도가 높아져 만성질환 발생 위험도 커진다"면서 "식품을 조리할 때 설탕, 시럽 등 첨가당을 적게 넣고, 식품표시사항을 꼼꼼히 확인해 덜 달게 먹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