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 붕괴할 경우 필요병력만 26~40만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北 붕괴할 경우 필요병력만 26~40만명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이 붕괴할 경우 안정화를 위해 필요한 병력은 얼마나 될까? 미국 국방·안보연구기관인 랜드(RAND)연구소의 브루스 베넷 박사와 다트머스대의 제니퍼 린드 교수가 제시한 필요병력은 26~40만명이라고 주장했다. 북한 전역에 대한 안정화 작전과 대량살상무기(WMD) 확보, 국경 관리 등 각종 작전 수행을 위해서다.

양낙규 기자의 Defense Club 바로가기


두 교수가 최근 게재한 `국제안보'에 공동 게재한 `북한의 붕괴: 군사 작전과 요구들'이라는 논문에 따르면 최소한의 병력수 26~40만명은 한군의 큰 저항이나 공격이 없는 낙관적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이와 다른 상황이 전개될 경우 필요한 병력은 훨씬 늘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북한 붕괴시 식량부족 사태 등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에 대처하고 북한 내에서 치안력을 유지할 안정화 작전이 우선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난민 유입이 예상되는 북한과 중국, 러시아, 한국과의 국경지대에 대한 국경 통제 ▲WMD 제거 및 안전한 확보 ▲재래식 무기 무장해제 ▲북한군 저항세력에 대한 억지 및 궤멸 작전 등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진은 ▲안정화 작전에 18만∼31만2000명 ▲국경 통제에 2만4000명 ▲WMD 제거에 3000∼1만명 ▲재래식 무기 무장해제에 4만9000명 ▲저항세력 억지 및 궤멸 작전에 7000∼1만500명의 병력이 각각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북한 붕괴시 가장 시급하고 어려운 임무는 북한의 핵, 생·화학무기 등 WMD를 안전하게 확보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연구진은 WMD 제거작전을 위해 북한이 붕괴할 경우 우선 북한의 주요 항구를 통제할 필요가 있으며 북한을 떠나는 수상한 선박이나 항공기에 대한 차단 작전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WMD 주요 시설에 대해서는 `급습'에 가까운 작전을 통해 통제권을 확보해야 한다면서 이런 작전을 위해 시설당 200명 정도의 특수부대원들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WMD 시설을 지키는 북한군의 저항이 심할 경우 WMD 관련 1개 시설을 안전하게 접수하는데 대대나 여단 규모(700∼3500명)의 병력까지 필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에서 북한 붕괴시 중국이 국경통제나 WMD 제거를 위해 북한 내에 군대를 보낼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중국군 투입으로 인한 한미 양국과의 갈등 고조를 막고 오해를 막기 위해 한미 양국이 중국측과 공식적인 차원에서 북한 붕괴에 대비한 대응책 협의에 미리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