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바꾸나 與"…"나 빼고 다 쇄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 이후 한나라당 내 쇄신바람이 거세다. 지도부와 의원들은 저마다 백가쟁명식 개혁 해법을 내놓고 있다.


정몽준 한나라당 전 대표는 31일 CBS라디오에 출연해 지도부 교체를 강조하며 '박근혜 대표론'을 주장했다. 정 대표는 "(내년 총선에서) 공천혁명을 하기 위해서는 우리 당의 강력한 지도부, 책임을 질 수 있는 힘 있는 지도부가 있어야 한다"며 "당헌ㆍ당규를 바꿔서라도 힘이 많이 있는 박 전 대표께서 (지도부에) 참여하셔야 한다"고 했다.

원희룡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민생문제에 대해서 여러가지 소홀한 게 있음에도 자화자찬하고 있다"며 "대통령이 지금 시점에서 정말 새롭게 태어난다는 각오로 보여줘야 한다. (당이) 대통령과 청와대에 대해서도 더 이상 예의를 지키고, 배려할 여유가 없다"고 쓴소리를 했다.


친박계인 서청원 전 미래희망연대 대표는 지난 29일 친박산악회 모임에서 "정치가 실종되고 정당정치가 붕괴된 책임은 오로지 이명박 대통령에게 있다"며 "이 대통령은 한나라당을 더 이상 망가뜨리지 말고 국민과 당에 사죄한 뒤 입장을 확실하게 정리해야 한다"며 이명박 대통령의 탈당을 주장하기도 했다.

이재오 전 특임장관은 자신의 트위터에 "친구야. 지력이 다한 땅에 아무리 땀 흘려 농사 지은들 쭉정이밖에 더 있겠는가?. 내년 농사 잘 지을려면 객토를 하든 땅을 바꾸던 해야 할걸세. 나는 원래 농사꾼이었지…"라는 글을 남겼다. 지력이 다한 땅은 한나라당을, 내년 농사는 총선과 대선을, 농사꾼은 자신을 지칭한 것으로 해석된다.


여의도연구소 소장인 정두언 의원은 SBS라디오에 출연, "당을 새롭게 젊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기득권을 포기하고 문호를 개방해서 신진 인사를 영입해서 당의 이미지, 당의 내용을 바꿔야 한다"고 했다.


김정권 사무총장은 아시아경제와 통화에서 "공천 과정에서 좋은 사람들 데리고 와야 한다는 것은 필요한 일"이라며 외부수혈에 공을 들이고 있음을 시사했다.


친박계 중진인 홍사덕 의원은 인적쇄신과 관련, "이 사람 안 되니까 다른 사람 갖다놓는다고 잘할거라 믿는 국민이 어디 있겠느냐"며 "제일 중요한 것은 정책 변화"라고 강조했다.


한나라당내 복잡한 계파 만큼이나 당 쇄신의 해법도 다양한 셈이다. 그러나 계파별 복잡한 속내가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지 여부는 사실상 박근혜 전 대표의 의중에 달려있다고 봐야한다.


이와관련, 남경필 최고위원과 정두언 여의도연구소장 등 당내 쇄신파들은 31일 첫 모임을 갖고 당과 청와대 쇄신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기로 했다.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