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이영규 기자]'접도지역 내 산업을 한 데 묶어 상생 방안을 찾아라.'
경기개발연구원이 강원, 충남, 충북 등 3개 광역자치단체와 접하고 있는 경기도의 접도지역 내 산업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상훈 선임연구위원은 13일 '경기도 접도지역의 산업입지 패턴과 발전방안' 연구를 통해 경기-충남, 경기-충북, 경기-강원 지역 간 접도지역 내 산업을 클러스터 형태로 묶을 경우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라며 산업입지 상생발전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접도지 산업클러스터 통해 '상생'
이 선임연구위원은 연구 자료에서 경기도와 충남 간 접도지역 내 협력가능 업종으로 식료품, 자동차, 트레일러, 기타기계 및 장비,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음향, 통신장비 등을 들었다. 이는 경기도 평택시와 안성시에 입주한 기업들이 주로 이들 업종인데다, 충남 역시 천안시와 당진군, 아산시 등도 유사업종이 경기 인접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이란 게 이 선임연구위원의 설명이다.
그는 또 경기도와 충북 접도지역은 음료, 섬유, 펄프, 의료정밀광학기기, 가구, 식료품, 자동차, 트레일러,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등을 꼽았다. 경기도 안성, 이천, 여주와 충북 진천, 음성, 충주의 경우 이들 업종이 많이 산재해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아울러 경기도와 강원도 간 접도지역에서는 섬유, 가구, 식료품, 의료정밀광학기기, 자동차, 전기장비 업종 간 상호협력이 시너지를 낼 것으로 분석했다.
◆'산업입지 상생발전 협의체' 필요
이 선임연구위원은 접도지역 상생방안으로 '산업입지 상생발전 협의체' 운영을 제안했다. '산업입지 상생발전 협의체'가 구성되면 각 자치단체 간 산업입지관련 규제 등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고 입지정책에 반영할 수 있다는 게 이 선임연구위원의 생각이다.
그는 또 접도지역 산업단지의 개별입지 집적지역에 대한 계획적 관리 필요성도 제시했다. 기존 개별입지 집적지역 중 계획입지로 전환해야 할 곳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 기준에 적합한 집적지역은 지자체 간 협력을 통해 계획적 정비를 유도해야 한다는 게 이 선임연구위원의 주장이다.
그는 특히 "산업입지 상생발전 협의체는 광역자치단체는 물로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입지관련 실무자와 전문가까지 아우르는 보다 광의적 형태로 운영되는 게 효율적"이라고 조언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