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목숨까지 잃을 수 있는 ‘벌집’ 피하는 요령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쏘였을 땐 동전, 카드로 긁어 침 빼내야…몸 낮춰 피하고 향기 진한 화장품, 화려한 옷 금물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여름 끝 더위에 말벌이 기승을 부리면서 ‘벌집’에 대한 경계령이 내려졌다.


대전시소방본부는 23일 장마가 끝나고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주택가 등 도심지역에 말벌이 급증하고 있어 시민들은 벌떼 공격으로부터 조심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말벌은 크기가 일반 벌의 두 배 이상으로 침을 한번 쏠 때 나오는 독의 양이 일반 벌보다 매우 강하고 꿀벌과 달리 침을 계속 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말벌에 쏘였을 땐 손으로 만지지 말고 동전이나 카드 등으로 조심스럽게 긁어서 빼내야 한다. 쏘인 부위엔 얼음찜질 등을 해주면 통증과 가려움을 가라앉힐 수 있다.

심할 땐 알레르기증상이 일어나 호흡이 곤란해지거나 의식을 잃는 과민성쇼크가 일어날 수 있어 119에 신고하거나 가까운 병원에서 치료받아야만 한다.


실수로 벌집을 건드렸을 땐 벌을 자극하지 않도록 큰 동작을 삼가야 한다. 몸을 최대한 낮춰 자리를 피하는 게 상책이다. 향기가 진한 화장품이나 화려한 옷은 벌을 자극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한편 대전시소방본부가 벌떼나 벌집 없애기를 위해 출동한 회수가 올 상반기 81건에 그쳤으나 7월에만 119건에 이르러 여름철 들어 벌떼가 시민들을 괴롭히고 있다. 최근 3년 사이 ▲2008년 780건 ▲2009년 1599건 ▲2010년 1571건으로 급증세다.


이는 온난화에 따른 기온증가로 벌들이 도심으로 날아와 생존본능상 많은 벌집을 지으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분석됐다.


벌집은 6~7월부터 서서히 늘다 8~9월 중 급증(전체건수의 70%)하며 10월부터 준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요즘 벌집은 특정지역을 가리지 않는다. 주택가, 상가, 공원, 학교 등 다양한 곳에서 볼 수 있다”며 벌에 쏘이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그는 “벌집을 막대로 건들이거나 불을 붙여 없애려다 화재와 더 큰 위험을 불러올 수 있다”며 “벌집을 보면 무리하게 없애지 말고 119에 신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왕성상 기자 wss404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