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MB, '공생발전' 첫 행보로 재계 선택..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0초

靑 "소통으로 공감대 확산"..재계 "압박감 느낀다"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이정일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공생발전(Ecosystemic Development)'을 위해 가장 먼저 재계에 손을 내밀었다. 오는 31일 30대 그룹 총수들을 만나 집권후반기 국정철학을 직접 설명함으로써 재계부터 공감대를 형성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재계의 표정은 뚱하다. 지난해 이 대통령이 '동반성장'을 앞세운 '공정사회'를 국정기조로 들고 나오면서 한바탕 홍역을 겪었기 때문이다. 대기업들은 '금융위기 극복의 주역'에서 '중소기업·서민 등치는 악덕업자'로 비춰지는 등 반기업 정서 확산에 불만을 삼키고 있다. 이번에도 '공정사회'의 재판이 되지 않을까 걱정부터 앞서는 눈치다.

◆'공생' 소통하자는 靑= 지난 15일 이 대통령이 '공생발전'을 화두로 꺼낸 이후 청와대는 이와 관련해 별다른 행보를 보이지 않았다. 언론 등 여론의 반응을 살피고,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듣는 등 후속대책 마련에 몰두하는 모습이었다. 오는 21일부터 26일까지는 몽골,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때문에 자리를 비운다. '공생발전'과 관련한 첫 공식행사가 이번 30대 그룹 총수와 간담회인 셈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에 대해 "재계가 '공생발전'의 의미를 가장 잘 이해해줘야 한다"며 "이를 위해 소통이 많이 필요하다. 대화를 하면 뜻이 이런 거구나 하는 공감대가 생기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공생발전'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재정위기를 연이어 겪으면서 가진 문제의식의 결과물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주체는 기업이다. 때문에 대기업들이 정부와 같은 지향점을 갖고 협력하지 않으면 공허한 구호로 끝날 수도 있다.


청와대의 다른 참모는 "이번 간담회는 '공생발전을 통해 대기업을 더욱 압박할 것'이라는 일각의 오해를 풀고, 경제위기 속에서 대기업이 더 잘될 수 있도록 총수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히는 데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했다.


이같은 언급에도 불구, 집권후반기에 접어들면서 청와대의 '영(領)'이 점점 약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설득과 이해를 구하면서도 언제든 압박카드를 꺼낼 수 있다.


◆'압박' 부담스러운 재계= 재계는 '공생'이라는 총론에는 공감하면서도 어떤 기업정책으로 구체화 될 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칫 정부가 강압적인 모습을 보인다면 글로벌 경기 위축으로 비상경영 돌입을 고려하고 있는 대기업들로서는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국경제인연합 관계자는 "공생이라는 대원칙에 이견을 다는 기업은 없다. 재계는 공생을 위한 동반성장에 주력해왔으며 향후 더욱 확대할 것이다"면서도 "다만, 방법론에서는 이견이 있다. 여야간 입장 차이가 있듯이 정치권과 재계간 접근법도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A대기업의 한 임원은 "동반성장 없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수 없다. 재계가 협력사 지원에 적극 나서는 것도 이 때문이다"며 "하지만 무조건적인 공생은 오히려 산업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동반성장이든 공생이든 합리적이고 투명한 가이드라인에서 진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B대기업 관계자도 "여야 정치권이 기업인들을 국회로 불러들여 호통친 데 이어 대통령이 재계 총수를 청와대로 초청해 공생하자고 하는 것은 재계에는 큰 압박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며 "이같은 행보가 반기업 정서를 키우는 결과로 이어질까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공생발전'과 관련해 "기존의 시장경제가 새로운 단계로 진화해야 한다"면서 "'탐욕경영'에서 '윤리경영'으로, '자본의 자유'에서 '자본의 책임'으로, '부익부 빈익빈'에서 '상생번영'으로 진화하는 시장경제의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고 강조했었다.




조영주 기자 yjcho@
이정일 기자 jayle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