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LG화학, 100억원대 전기차 배터리 프로젝트 수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미국 전기자동차개발컨소시엄과 4번째
2013년까지 차세대 전기차용 배터리 개발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LG화학(대표 김반석)이 미국 정부로부터 고성능 자동차용 배터리 개발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세계적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26일 LG화학은 미국 전기차 배터리 개발 컨소시엄인 미국전기자동차개발컨소시엄(USABC)로부터 1000만달러(한화 105억원) 규모의 고성능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개발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USABC와 함께 올해부터 2013년까지 차세대 플러그인 전기자동차에 탑재될 고성능, 고출력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하게 된다.

USABC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개발을 위해 미국 에너지국과 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세계적 자동차 메이커 3사가 구성한 컨소시엄이다.


LG화학측은 특히 이 프로젝트가 배터리 가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원가 절감 기술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어 전기차 대중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스티브 짐머 미국 자동차연구위원회 전무이사는 "이 프로젝트는 전기차의 종류를 다양화하고, 실질적으로 소비자가 저렴하게 전기차를 구매할 수 있도록 대중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화학, 100억원대 전기차 배터리 프로젝트 수주 LG화학 미국 현지 연구법인인 LGCPI 연구원들이 GM 쉐보레 볼트에 탑재되는 T-형 배터리 팩을 검사하고 있다.
AD


아울러 이번 수주로 LG화학은 USABC로부터 총 4개의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기록을 세웠다.


그동안 LG화학은 지난 2004년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개발을 시작으로 2006년과 2008에 각각 한차례식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배터리 프로젝트에 참여해왔다.


LG화학은 앞선 3개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것은 물론 , GM, 포드 등 미국 주요 자동차 업체에 실질적으로 배터리를 공급하면서 입증된 기술력과 양산능력을 높게 평가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금까지 LG화학은 GM의 쉐보레 볼트를 비롯해 포드의 순수 전기차 'FOCUS'용 배터리 공급업체로 미국 전기차 시장을 선점해왔다.


김반석 부회장은 "이번 프로젝트 수주로 세계적인 기술력을 다시 한 번 인정받은 만큼 향후 차세대 배터리 분야에 연구개발을 집중해 세계시장에서의 주도권을 더욱 공고히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LG화학은 2013년까지 국내 충북 오창 공장과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현지 공장에 총 2조원을 투자해 35만대 이상의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생산능력을 갖추고, 2015년 세계 전기차 시장점유율 25%이상 확보해, 매출 4조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오현길 기자 ohk041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