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평창, 꿈을 넘어 '약속'의 실천으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평창이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됐다. 강원도민은 물론이고 국민 모두가 자축할 일이다. 유치단이 전달한 '꿈과 희망'이라는 메시지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들 사이에 공감을 불러일으켜 평창이 예상 이상의 압도적인 표차로 경쟁도시 뮌헨을 제압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


독일의 대도시 뮌헨이 잘 갖춰진 인적ㆍ물적ㆍ문화적 인프라를 토대로 '최고의 대회'를 약속했음에도 IOC 위원들이 인프라에서 훨씬 뒤처지는 한국의 작은 도시 평창을 개최지로 선택한 것은 '미래의 가능성'을 높이 산 결과다.

그것은 유치위원회가 그동안 강조해온 대로 '북미와 유럽의 선진국 선수들만이 아니라 아시아의 개발도상국을 비롯한 세계 곳곳의 소외지역 선수들도 동계올림픽에 참가할 가능성'이다. 평창이 이런 가능성을 핵심으로 '새로운 지평'을 여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는 유치단의 설득이 IOC 위원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이제 한국은 유치경쟁 과정에서 세계인들에게 명시적ㆍ암묵적으로 약속한 것들을 성실하게 실천으로 옮겨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동계올림픽 저개발 지역' 선수들이 보다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하고, 올림픽 대회가 강대국 중심의 국가 간 국력 과시 수단에 머물지 않고 지구 공동체의 대동단결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어야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이 '과거 올림픽 운동으로 한국이 받은 은혜를 이제 동계올림픽을 통해 되갚겠다'고 이명박 대통령이 한 약속을 지키는 길이다. 이런 점에서 경기장, 숙소, 교통수단 등 물적 시설 외에 대회 자체의 질적 수준과 문화적 콘텐츠를 갖추는 일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동계올림픽 유치의 경제적 효과가 몇 십조원이니 하는 수치를 여기저기서 내놓고 있지만 이런 수치에 너무 구애될 필요는 없다. 그보다는 대회를 강원도 발전과 국력 강화에 도움이 되게 하려는 자세가 중요하다. 전시효과를 앞세운 낭비적 투자는 가급적 줄이고 대회 이후에도 실질적 효과를 내주는 건설적 투자의 비중을 최대한 높여야 한다. 그러면 경제적 이익은 자연히 극대화될 것이다.


이번 유치경쟁에서 한국이 승리하는 데는 이건희 삼성 회장, 조양호 대한항공 회장, 박용성 두산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의 기여가 컸다. 특히 이 회장은 막판에 IOC 위원들을 한국 편으로 끌어들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게 됐고, 그 덕분에 1년 반 전에 특별사면을 받은 것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낼 수 있게 됐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기업과 기업인들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하다. 기업이 평창 동계올림픽을 장사의 기회로만이 아니라 사회적 공헌의 기회로도 활용하길 바란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