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한-EU FTA 대책마련 부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0초

[아시아경제 이영규 기자]경기도가 7월1일 발효되는 한-EU FTA(자유무역협정)를 앞두고 원산지 관리능력 강화 등 대응전략 마련에 나섰다.


일단 경기도는 한-EU FTA가 발효될 경우 '실'보다는 '득'이 훨씬 많다는 입장이다. 경기도의 '싱크탱크' 경기개발연구원이 연구한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는 향후 15년간 한-EU FTA로 자동차ㆍ섬유ㆍ전기전자 분야에서 4426억원의 수혜를, 제약 등 정밀화학과 농축산업 분야에서 2514억원의 손해를 볼것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경기도는 FTA로 원산지 규정을 위반할 경우 물품가액 3배 상당의 벌금이 부과되는 만큼 경기FTA활용지원센터와 산업별·지역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전담 관세사가 현장을 찾아가 원산지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기업의 FTA 담당자를 대상으로 야간강좌를 개설하고, 도내 대학의 FTA 교육과정 수료생을 대상으로 현장 실무능력 교육도 실시하기로 했다.


시장개척을 위해 EU 지역의 경기도 전시관을 확대하고, 올 하반기에는 EU의 바이어를 초청해 수출상담회를 열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EU 지역 해외마케팅을 대행하는 경기비즈니스센터를 설치할 방침이다.


연평균 376억원의 생산액 감소가 우려되는 축산분야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와 연계, 농업발전기금 확대와 분뇨처리 현대화, 방역시스템 구축, 종자산업 육성 등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이영규 기자 fortu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