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단독]금감원 PF조사 결과에 저축銀 12곳 "매각 불가" 반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부실 우려 이하 채권 3조400억 판정,,업계 "헐값 매각 못해"
24일 공자위서 매각 규모 등 심의,,1.9조에 머물듯

단독[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 이광호 기자, 이지은 기자]금융감독원이 저축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전수조사를 근거로 부실채권 매각 조치를 내린데 대해 상당수 저축은행이 거부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금융당국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9일까지 89개 저축은행의 468개 PF사업장에 대한 사업성 조사 심사에서 부실 및 부실우려 채권이 3조 4000억원에 달한다고 판단하고 조사 대상 저축은행들에 수용 여부를 타진했다.

그러나 12개 저축은행이 금감원 심사 결과에 반발, 매각 신청에 나서지 않았다. 저축은행들이 자산관리공사(캠코)에 매각하겠다고 저축은행중앙회에 접수한 부실 PF채권이 당국 기대치에 크게 못미치는 2조300억원에 그친 이유 가운데 하나다.


금융권 고위관계자는 "당초 금융당국이 캠코를 통해 PF 부실채권을 최대 5조원 어치를 흡수해 하반기 2차 저축은행의 위기 가능성을 최소화하려했지만, 대형 저축은행을 포함한 12개 곳이 단 한 푼도 팔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원칙적으로 '부실' 및 '부실우려' 사업장 PF 채권은 전액 캠코에 매각토록 하고, 이보다 한 단계 우량한 '보통' 사업장 PF채권도 저축은행의 희망에 따라 캠코에 넘기도록 할 예정이었다. 당국 의도 대로라면 매각 규모는 적어도 3조4000억원 이상이 되어야 하는 셈이다.


그러나 실제 저축은행들이 매각의사를 밝힌 PF 채권은 당국 기대치에 1조 4000억원 정도 미달했고, 이날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캠코에 매각되는 채권은 이 보다 적은 1조 9000억원에 머물 전망이다.  


공자위는 이날 오후 4시 전체회의를 열어 저축은행 PF 부실채권 매각 규모를 심의·의결할 예정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금감원이 너무 엄격한 잣대를 내세워 정상화가 가능한 채권에 대해서도 매각 대상으로 분류했다"며 "만약을 대비해 충당금도 충분히 쌓아두고 있는 터라 당국의 조사 결과를 액면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업계의 미온적인 대처에 즉각 대응에 나섰다.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은 23일 "9월 정도에 저축은행에 대한 경영진단평가를 진행할 예정으로 금융위원회와 세부 내용을 협의중"이라고 말했다.




조태진 기자 tjjo@
이광호 기자 kwang@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