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PF매입, 후유증만 양산할 것"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금융당국 저축은 8월 위기설 해법 논란


[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약(藥)일까, 독(毒)일까.'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저축은행 연착륙 구상에 대해 벌써부터 우려 섞인 지적들이 나오고 있다.


금융당국이 이른바 '8월 위기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채권을 적극적으로 매입키로 하면서 과감한 구조조정을 미뤄 향후 더 큰 후유증을 양산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

김 위원장은 최근 한국금융학회 정기세미나에 참석, "하반기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걱정은 있지만, 확고하게 연착륙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금융권 일각에선 최근 금융당국의 저축은행 대책이 위기 모면용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금융위와 금감원은 저축은행에 대규모 예금인출(뱅크런)에 대비, 고금리 특판예금 판매, 시중은행과의 크레디트라인 구축 등으로 현금성 자산 20%를 확보할 것을 주문했다. 또 강도 높은 PF사업장 점검을 거쳐 캠코 매각 대상을 두 배 가량 늘렸다.


금융위 고위관계자는 "프라임저축은행에서 보듯 시장에 민감한 악재가 터지면 곧바로 뱅크런이 발생할 정도로 예금자들의 인내심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며 "8월 저축은행들이 부실한 재무제표를 공개해 걷잡을 수 없는 예금 인출 사태가 발생하는 것은 막아야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침체가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데다 저축은행들이 마땅하게 돈을 굴릴 수도 없는 상황이라는 게 문제다. 지난 2008년 12월 캠코의 저축은행 부실채권 매입 이후 주요 경영지표가 거품으로 건전해졌던 상황과 비슷하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PF대출이 제한된 지금이 오히려 영업하기가 더 까다롭다"며 "서민 등을 대상으로 한 소액 대출도 연체율 상승으로 곤욕을 치른 경험이 있어 선뜻 내키지 않는다"고 어려움을 전했다.




조태진 기자 tjj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