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성호 기자, 이초희 기자, 채명석 기자]재벌닷컴이 우리나라 재벌그룹들이 조세조약 미체결국에 해외법인을 크게 늘렸다고 밝히자 대기업들이 적지 않게 반발하고 있다.
일부 그룹은 재벌닷컴의 조사수치 자체에 오류가 있다고 반박하는 한편 정상적인 글로벌 영업을 위한 과정에서 벌어진 일임에도 마치 세금을 회피하려는 의도가 내포된 것처럼 오해를 살 수 있어 적극 해명에 나서는 모습이다.
22일 재벌닷컴은 30대 재벌그룹 가운데 지난 5월 말 현재 조세조약 미체결국 소재 해외법인을 가장 많은 곳은 롯데로 4개가 증가해 총 33개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어 삼성도 조세조약 체결을 앞둔 홍콩에 4개가 늘어나는 등 작년보다 7개가 증가해 총 30개의 해외법인을 조세조약 미체결국에 두고 있고 LG는 8개가 증가한 21개의 해외법인을 이들 지역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대와 동양, 한화, STX, 한진, SG, 현대중공업 등도 거론했다.
이에 대해 롯데그룹은 우선 조세미체결국가에 있는 해외법인은 29개로 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또 해외 M&A를 강화하면서 재작년에 중국에 타임즈라는 유통업체를 인수했는데 이 기업이 상당수 조세미체결국가에 해외법인을 두고 있어 자연스럽게 숫자가 늘었다고 해명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이 자료를 조사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삼성 관계자도 “정확한 현황을 재파악하고 있지만 삼성과 같은 글로벌 기업이 세금을 회피하기 위해 이들 지역에 페이퍼컴퍼니를 둔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대중국 교역 등 정상적인 기업활동을 위해 홍콩 등지에 국외법인을 뒀고 필리핀의 경우 외국인 토지소유가 법적으로 금지돼 페이퍼컴퍼니 형태로 진출했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LG그룹도 자원 개발 등에 나서는 계열사들이 늘어나면서 조세협약 미체결국가에 페이퍼컴퍼니를 세운 곳이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자원개발은 통상 자원보유국가 기업 등과 조인트벤처로 진행되기 때문에 자원개발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에 따라 특수목적법인(SPC) 설립 국가를 제3국에 설립하는 경우가 흔치는 않다.
LG그룹 관계자는 "LG는 실제 비즈니스를 위해 필요한 경우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며 "예를 들어, LG전자는 파나마 판매 법인의 경우 실제 전자제품 판매 비즈니스를 수행하고 있고 LG상사의 마샬군도에 있는 법인은 자원개발탐사를 목적으로 설립한 투자법인"이라고 강변했다.
현대중공업은 “해양플랜트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외국의 법인 페이퍼컴퍼니가 일부 있고, 아프리카 등의 사업 진행할 때는 지사가 있는게 좋아서 이들 지역에 페이퍼 컴퍼니식의 법인을 뒀다”고 밝혔다.
두산그룹은 “조세협약 미체결국가 해외법인 2곳은 홍콩에, 1곳은 대만에 있다”며 “홍콩은 전자BG에서 설립했는데, 중국과 홍콩 이원체제라 페이퍼 컴퍼니를 통해 중국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때문에. 대만은 인프라코어에서 밥캣을 인수할 때 딸려온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재계 관계자는 “조세조약 미체결국가에 페이퍼컴퍼니를 세우는 것이 마치 100% 세금회피를 위한 것으로 인식돼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며 “정상적인 기업활동 중에도 불가피한 설립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조세조약 미체결국가 해외법인 숫자의 증감을 놓고 대기업들을 윤리적으로 재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박성호 기자 vicman1203@
이초희 기자 cho77love@
채명석 기자 oricms@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